제보
주요뉴스 newspim

군 사이버사령부 서버 뚫렸다…"북한 소행 추정"

기사등록 : 2016-12-06 09:4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인터넷전용망 악성코드 감염으로 기밀 대량유출 가능성

[뉴스핌=이영태 기자] 국군 내부 전용 사이버망이 외부세력에 해킹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방부 관계자는 5일 "군 인터넷 백신체계 해킹사고 조사를 진행하던 중 국방망 일부 컴퓨터도 악성코드가 감염된 것이 식별됐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합동조사팀을 구성해 관련 내용을 조사한 결과, 군사비밀을 포함한 일부 군사자료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작전계획 등 민감한 군 기밀이 대량 유출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황인무 국방부 차관이 지난 3월11일 서울 국방부에서 열린 사이버안보 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9월23일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백신 중계 서버에 악성코드 감염 징후가 감지됐다. 해커는 육·해·공군의 인터넷 접속용 공용 PC 2만 여대의 백신중계 서버로 침투했다.

사이버사는 당시 "중계 서버의 취약점을 악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악성코드 유포 정황을 식별했다"며 "추가적인 위협의 확산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서버의 네트워크를 분리했다"고 밝혔지만, 이미 악성코드에 감염된 PC가 좀비 PC로 전락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사이버사가 해킹된 것은 2010년 1월 부대 창설 이후 처음이다.

군은 인터넷 접속용 PC의 감염을 통해 군내 인트라넷 PC의 감염이 충분히 이뤄졌을 가능성을 열어놓고 다각도로 조사 중이다.

군 정보당국 고위 관계자는 "해커가 개개인의 PC로 침투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해킹을 통해 어느 정도까지 침투했는지 여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아직 어떤 자료들이 유출됐는지는 구체적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있으나 만약 해킹으로 Ⅰ~Ⅱ급 비밀에 해당되는 군의 작전계획까지 북한에 해킹당했을 경우 이를 새로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