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중국, 화장품이어 스마트폰 '불매'카드 만지작. 보이콧 가능할까

기사등록 : 2017-03-15 09:4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편집자] 이 기사는 3월 14일 오후 4시5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황세원 기자] 중국이 사드 보복 조치의 일환으로 화장품, 관광업 등 한국 주요 산업에 대한 보이콧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이 스마트폰 밸류체인으로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이 모바일용 AP, Fab공정 부문 등에서 빠른 속도로 한국 기술력을 따라잡고 있는 만큼, 보이콧이라는 '무리수'를 던진다 하더라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메모리반도체, 패널, 배터리 등 스마트폰 밸류체인을 구성하는 일부 핵심 분야에서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만큼, 섣불리 보이콧을 단행하지 않을 가능성도 여전히 큰 상황이다.

◆ 모바일용 AP 자급률 높아져, 메모리반도체 등 기술 격차는 여전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현지 기업들의 약진이 두드러진 가운데 스마트폰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중국 자급률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현지 일각에서는 사드 배치 논란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국 스마트폰 전반에 대한 보이콧을 전개하더라도 자국에 대한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실제 모바일용 AP 및 Fab공정 분야에서의 중국의 자급률은 이미 상당 수준까지 도달했다. 모바일용 AP의 경우 화웨이 자회사 하이실리콘이 프리미엄 시장을 장악했으며, 스프레드트럼, 롄신(聯芯)커지 등은 중저가 시장 내 독과점 체제를 구축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 주요 스마트폰 업체 가운데 한국 모바일용 AP를 사용하는 기업은 메이쭈(魅族)에 불과하다. 화웨이는 자회사 하이실리콘 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OPPO와 vivo는 퀄컴, 샤오미는 퀄컴과 롄파커(聯發科), 롄신(聯芯) 등과 협력 중이다.

Fab공정 분야에서 중국 기업의 약진은 더욱 위협적이다. 삼성과 SK하이닉스가 중국 산시시안(山西西安), 장쑤우시(江蘇無錫) 등 지역에서 반도체 라인을 운영하고 있지만, 중국 대부분 반도체업체가 SMIC, TSMC 등 중국계 기업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만큼 한국 기업이 비집고 들어갈 여지가 크지 않다.

 

하지만 이들 분야를 제외한 기타 밸류체인 분야에서는 한국 기업이 여전히 강점을 갖고 있는 만큼 전면적 보이콧은 힘들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특히 메모리반도체는 스마트폰 밸류체인 가운데에서도 중국이 가장 취약한 분야다. 낸드플래시의 경우 삼성과 SK하이닉스가 중국 시장점유율 33.6%, 10.1%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마이크론, 샌디스크, 도시바 등이 나눠 갖고 있다. 중국 기업은 단 한 업체도 상위 그룹에 포함되지 못했다.

중국 디램(DRAM) 분야 내 한국 기업의 영향력은 더욱 부각된다. 삼성과 SK하이닉스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64.5%, 22.8%를 확보, 전체 90%에 달하는 시장을 확보하고 있는데 중국에서도 마이크론과 함께 3강 독점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그 외 모바일용 패널이나 배터리 시장도 비슷한 상황이다. 모바일용 패널의 경우 중국의 BOE, TIANMA, 폭스콘 등 본토 기업이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초고속 성장했지만, 세계 최강으로 불리는 삼성디스플레이나 LG디스플레이 등 한국기업과는 여전히 격차가 있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 글로벌 모바일용 OLED 시장의 90% 이상을 독식하고 있어 중국기업입장에서는 직접적인 경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모바일용 패널 대세가 LCD에서 OLED로 이전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주요 업체가 LCD 생산라인 확장에만 집중했다는 점도 당분간 한국기업의 우위를 낙관하는 이유 중 하나다.

현지 유력 매체 왕이차이징(網易材經)은 업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최근 중국 스마트폰 시장 내 중국 브랜드의 약진이 두드러진다고는 하나, 속을 들여다보면 여전히 한국 부품이나 기술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며 “스마트폰 밸류체인 분야 내 완벽한 자급자족을 이루지 않는 한 한국 업체에 대한 전반적인 불매 운동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유력 매체 텅쉰차이징(騰訊材經)도 “사드 보복 조치가 본격화된 이후에도 중국 프리미엄 스마트폰업체는 자사 제품의 퀄리티 보장을 위해 가성비가 뛰어난 한국산 부품 비중을 늘렸다”며 “첨단 기술 분야에서 사드 영향은 그리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원 기자 (mshwangsw@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