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어떡하면 대우조선 손실 최소화하나...심경 복잡한 국민연금

기사등록 : 2017-03-24 18:4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주식 전환시 주가폭락 위험, P플랜 선택하면 시스템 리스크 위험

[뉴스핌=허정인 기자] 대우조선해양 회사채의 출자전환 여부를 놓고 국민연금이 깊은 고민에 빠졌다. 이러나 저러나 손실이 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최대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구상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의 제안대로 회사채의 절반을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주가 폭락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반대로 당국의 제안을 거부하고 프리패키지드 플랜(워크아웃의 신규 자금 지원 기능과 법정관리의 강력한 채무조정 기능을 연계한 제도)을 선택할 경우 예기치 못한 시스템 리스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국민연금은 24일 대우조선해양의 채무재조정에 대한 동의 여부와 관련 "기금운용본부는 금융당국의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출자전환의 적정성, 경영개선 계획의 합리성과 함께 기업가치 보전 방안, 법률적 위험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이 지난해 세계 최초로 인도한 천연가스추진방식 LNG운반선. <사진=대우조선>

◆ 출자전환 시 향후 주가하락 위험...원금보전 떠나 마이너스 수익률 가능성도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대우조선 회사채의 30% 가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회사채 출자전환의 결정권을 사실상 국민연금이 쥐고 있는 셈이다. 국민연금이 정부의 구조조정 방안을 받아들이면 보유 중인 3900억원 회사채의 절반을 주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나머지 절반은 만기를 3년 유예한다.

향후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큰 리스크는 대우조선 주가의 폭락이다. 조선업은 국제유가의 등락에 업황이 좌우된다. 연초만 해도 배럴 당 50달러 중반에서 머물던 국제유가(WTI)는 전일 기준 47달러 대로 내려 앉았다. 미국 발 공급과잉 우려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외국계 투자은행들은 향후 국제유가가 배럴 당 30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더군다나 시장에 적정 주가가 없다. 지난해 7월부터 거래정지 목록에 올랐기 때문에 주식가치부터 산정해야 한다. 업계는 이 값을 놓고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결손금 등을 반영해 새로운 주식 값이 나오면 마지막 주가(4만4800원)보다 상당 폭 낮은 선에서 형성될 것이란 게 시장의 공통된 의견이다. 여기에서 1차 손실이 발생하고 향후 주가 하락에서 2차 손실이 발생한다.

정부 지원과 출자전환으로 증자만 이뤄져도 대우조선 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일각의 견해도 있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삼성엔지니어링 사례에서 봤듯 본업은 취약한 상태에서 증자만으로도 주가가 오를 수 있다”며 “사실상 완전자본잠식으로 가느냐 마느냐의 기로에 놓여있는 대우조선이지만, 주식은 실적만으로 움직이는 게 아니기 때문에 한참 만에 거래가 재개되면 자본희석 효과로 값이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 회사채 원금 포기해도 시스템 리스크 잔재...당국 59조원 국가 손실 우려

국민연금이 더 이상의 손실을 막기 위해 출자전환에 반대표를 행사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향후 주가 하락의 리스크를 감내하기 보다는 3900억원의 원금을 포기함으로써 추가손실을 막겠다는 것이다.

출자전환이 무산되면 당국은 P-플랜을 진행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일종의 법정관리로, 정부의 지원금을 투입함과 동시에 법원이 대우조선의 청산을 맡는다. 이럴 경우 법원이 대우조선의 자산을 매각하고 부채를 갚겠지만 회사채 투자자 몫으로 남을 자산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최근 법정관리가 진행된 한진해운의 경우 해운업 특성상 매출채권 등이 있어 무담보채권자 몫의 청산자산이 일부 있을 수 있었다. 다만 조선업은 청산가능 자산이 대부분 실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무담보채권자인 회사채 투자자 앞으로 떨어질 자산이 없다는 게 그 근거다.

선주들이 선수금 환급을 요청하는 RG콜이 대규모로 발생할 수 있다. 회사가 청산의 길로 들어섰다고 판단되면 선수금을 지급한 선주들은 선수금 환급을 요청할 수 있다. 계약 이행이 어려울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때 선수금 보증을 선 은행이 나서야 한다. 대신 갚아줘야 하는 것. 전문가들은 충당금 부담까지 합해 총 은행권이 14조원 가량의 손실을 떠안을수 있다고 추정했다.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이다. 국민연금이 향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회사채 원금을 포기하더라도 은행권 발 위기가 국민연금 자산으로 전이될 수 있다. 다양한 자산에 분산투자하고 있는 국민연금이지만 대우조선 파산으로 인한 파급효과가 여러 경로를 통해 자산가격 하락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의미다. 당국은 최대 59조원에 이르는 국가경제적 파급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국민연금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국민연금은 기금운용 원칙으로 수익성, 안정성, 공공성, 유동성, 운용독립성 총 다섯 가지를 내세우고 있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기금을 운용하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 가장 비중있게 고려하는 것은 수익성”이라며 “기금의 이익제고 관점에서 내부적으로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입장을 전했다.

 

[뉴스핌 Newspim] 허정인 기자 (jeongi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