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中서 오프라인 접고 온라인 올인하는 신세계

기사등록 : 2017-06-15 11:2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신세계백화점, 최대 온라인 플랫폼 알리바바 티몰 입점
이마트는 중국 사업 철수..점포 폐점 예정

[뉴스핌=이에라 기자] 신세계그룹이 중국 시장서 오프라인을 철수하고 온라인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고 있다. 수년째 적자를 이어온 이마트 중국 점포는 철수를 택한 반면 신세계백화점은 중국 최대 규모의 온라인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와 손잡고 온라인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15일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오는 18일 중국 알리바바 그룹에서 운영하는 종합 쇼핑몰 '티몰(Tmall)'에 전문관을 오픈한다.

이번 전문관에는 뷰티, 패션, 잡화 장르가 문을 열고, 하반기부터 생활 가전 유아동 분야까지 확대한다.

배송은 알리바바 그룹 물류 파트너사 '차이니아오' 물류사를 통해 기존 해외배송보다 2일 빠른 통관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알리바바는 중국 내 전자상거래 1위를 차지하는 유통 온라인 공룡기업이다. 2010년 이후 연간 매출성장률이 50%를 웃도는 대표 플랫폼 기업이다. 알리바바가 운영 중인 티몰은 중국 온라인패션 플랫폼의 점유율 70%를 차지하고 있는 강자다.

신세계백화점은 이번 티몰 입점으로 약 10억명의 중국 현지 고객을 확보, 중국 내 인지도를 높이겠다는 의도다.

특히 중국 내에서 온라인 플랫폼 시장이 고성장을 하고 있다는 점도 글로벌 온라인 부문을 키우려던 신세계가 알리바바와 손을 잡게 된 배경이 됐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중국의 온라인쇼핑 규모는 1조달러로 전체 소매판매 차지 비중이 14% 수준이다.

중국의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으로 단체 관광객인 유커 등이 급감했지만, 온라인을 통한 한국제품 구매액은 증가한 것도 주목할 만 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중국인 중에서 온라인을 통해 한국 화장품을 구매한 금액은 5373억1900만원으로 직전분기 대비 6.66% 뛰었다. 패션 부문은 582억2900만원으로 7.71% 늘었다.
화장품과 패션이 전체 판매액의 90.2%를 차지하며 사드 역풍 속에서도 온라인 시장 수요는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예철 신세계몰 영업담당 상무는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과의 플랫폼 제휴는 신세계의 글로벌 온라인 영토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라며“향후 일본, 미국 등 해외플랫폼을 확장시켜 국가별 맞춤형 서비스와 트렌드 제안을 통해 신세계 브랜드 가치 제고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중국 내 온라인 시장 공략과 달리 오프라인 시장에서는 발을 빼고 있다.

이마트는 중국 점포를 모두 폐점하며 연내 현지에서 완전 철수하기로 했다. 1997년 상하이 취양점을 오픈한 지 20년만이다.

한때 2014년까지 100개 점포를 내겠다는 포부를 펼치기도 했지만, 2011년 적자 규모가 1000억원을 넘어서는 등 만성적자를 떨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중국 라오시먼점의 계약 연장을 포기했고, 남은 6개 점포도 순차적으로 정리할 예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최고의 유통 노하우를 보유했어도 중국 할인점 시장에서 후발주자로 성공하기에는 상품 공급 등에서 쉽지만은 않았을 것"이라면서 "매년 고성장하고 있는 중국 온라인 시장 최대 플랫폼과 손잡았다는 점에서 향후 적극적으로 온라인 분야를 키워나가겠다는 의지로 볼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티몰에 입점한 신세계백화점 전문관

 

[뉴스핌 Newspim] 이에라 기자 (ERA@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