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취임 100일' 김형진 사장의 신금투, '통합과 글로벌'

기사등록 : 2017-06-21 16:4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내달 통합 IB 출범으로 구심점 역할 기대
해외법인 안정화로 영역확대 및 그룹 시너지 모색 

[뉴스핌=조인영 기자] 김형진 신한금융투자 사장이 오는 24일 취임 100일을 맞는다. '은행 출신 사장'이라는 우려와 기대 속에 그의 목표는 명확하다. 올해 중점 사업은 '비즈니스 통합'과 '글로벌 현지화' 두 가지다. 안으로는 계열사에 두루 포진된 IB조직을 하나로 묶고, 밖으로는 해외법인 안정화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면서 조직 내 체질개선 뿐 아니라 계열사간 시너지도 노린다.

김형진 신한금융투자 사장<사진=신한금융투자>
신한금융투자는 최근 그룹 내 투자은행(IB) 인력을 맞기 위한 채비로 한창이다. 7월부터 신한금융그룹 투자은행(IB) 조직이 통합되기 때문. 그간 은행과 증권 중심으로 구성된 기업투자금융 (CIB·Corporate Invest Bank)에서 생명과 캐피탈 IB까지 결합한 그룹 단위의 GIB(Group Invest Bank)로 재탄생한다.
 
신한금융그룹은 2012년부터 은행과 증권간 IB 역량 강화를 강조해왔고, 올해는 한 발 더 나아가 보험과 캐피탈까지 영역을 확대키로 했다. 계열사들의 공통 사업을 묶어 비은행과의 시너지를 높이는 '하나의 신한(one shinhan)' 시스템 구축 일환이다.
 
업계는 종합IB 탄생을 통해 ▲은행 네트워크 ▲신한금투 금융구조 설계 ▲캐피탈과 생명의 자금 투자를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구심점 역할을 김 사장이 담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예상보다 빠른 전개로 안팎의 기대감이 높다. 신한그룹 계열사의 고위임원은 "GIB 초안이 2개월 전 나와 내년 초께 도입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생각보다 빠르게 추진되는 것 같다"며 "김 사장의 어그레시브(공격적인)한 성격이 반영된 듯 하다"고 전했다.
 
김 사장의 향후 '역할론'에 대해 '증권 경험이 없다'는 외부의 시각과 달리 신한 내부는 오히려 '호재'로 봤다. 신한금융그룹의 A임원은 "지주 부사장으로 4년 넘게 모든 계열사 전략을 들여다봤고, 신금투에선 비상임이사로 간접경험을 하며 장·단점을 간파했을 것"이라며 "변화가 필요한 저성장기엔 내부 인사보단 다양한 경험을 축적한 새 인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글로벌 사업에도 드라이브를 건다. 김 사장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서 성과를 내고 있는 신한은행과의 연계 사업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신한금융투자 B임원은 "은행이 가진 네트워크와 노하우를 활용해 협업하는 전략을 고민중인데 곧 가시화될 것"이라고 했다.
 
특히, 후발주자인 프라임브로커리(PBS) 사업에 대한 기대가 남다르다. PBS가 해외를 주 타깃으로 하기 때문이다.

신금투는 여타 증권사와 달리 글로벌 기업과 국내 투자자들을 연계하는 '글로벌 PBS'에 집중하고 있으며, 최근 베트남, 인도네시아 기업과 국내 헤지펀드를 연결하는 사업을 추진중이다.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채권, 주식 등 신금투가 만든 헤지펀드를 시장이 투자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중장기적으론 해외 헤지펀드를 국내에 소개하고 투자를 유도하는 인바운드(inbound)에서 반대로 해외로 판매하는 아웃바운드(outbound)로 전환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취임 초 PBS의 역할을 언급하며 "상품을 잘 만들어 공급해야 한다. 그런데 신금투만의 금융상품 허브가 아니라, 전체 금융상품의 허브가 돼야 한다"며 글로벌 사업을 강조한 바 있다.
 
신금투 C임원은 "'월드클래스 금융회사'라는 비전을 두고 우선적으로 아시아, 그 중에서도 동남아에 포커스를 두고 있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조인영 기자 (ciy810@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