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재주는 엔씨소프트가, 돈은 구글·애플이

기사등록 : 2017-08-09 09:2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모바일 체제 돌입 엔씨, 영업이익률 10%대로 '뚝'…전체매출 30% 수수료·타 마켓 배제 등 시장 지배력 남용 논란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8일 오후 4시56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성상우 기자] 국내 게임 시장이 모바일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수익성은 되레 악화되고 있다. 구글과 애플 마켓을 통한 게임출시로 매출은 늘어나지만 30%의 마켓 수수료로 영업이익률은 하락추세다. 재주는 국내 게임업체가 부리고 돈은 구글과 애플이 번다는 불만이 나오는 배경이다. 더구나 두 회사가 받는 수수료에 비해 국내 게임산업에 대한 기여도가 사실상 전무해 게임업체들의 불만은 증폭되고 있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의 영업이익률은 두분기 연속 10%대에 그쳤다. 2분기 13.6%로 1분기(12.7%)에 이어 두분기 연속 10%대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 2014년과 2015년 '리니지', '블레이드&소울' 등 온라인게임 흥행에 힘입었던 30% 안팎의 영업이익률에 비하면 절반 수준에도 못미친다.

엔씨소프트의 영업이익률 악화 주범은 구글과 애플에게 지급하는 유통 수수료다. 엔씨소프트는 구글과 애플의 마켓(앱 거래시장)플랫폼을 통해 리니즈M을 출시한 대가로 전체 매출의 30% 상당의 수수료를 지불했다. 

유통수수료로 인한 영업이익률 하락은 비단 엔씨소프트만의 문제가 아니다. 넷마블게임즈(대표 권영식)도 지난 2014년 24.5%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한 후 2015년 21%, 지난해 19.6% 등 하락세다.

넥슨 역시 지난달 27일 출시한 '다크어벤져3'를 시작으로 하반기에만 'AXE', '야생의 땅 듀랑고' 등 대규모 모바일 신작들을 연이어 출시한다. 모바일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 1분기 53%에 달하던 영업이익률 유지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해 구글 플레이 매출은 약 4조4500억원으로 추정된다. 이중 30%에 해당하는 약 1조4800억원은 구글이 '앉은 자리에서 거둬가는' 수수료다. 하지만 구글은 지난해까지 국내 투자에는 매출의 약 2.7% 만 쓰고 있다. 플랫폼사의 수익이 업계에 재투자돼 생태계를 발전시키는 선순환을 기대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구글과 애플에게 '시장지배력 남용'과 '먹튀' 논란이 동시에 제기되는 이유다.

이에 이동통신 3사와 네이버 등이 '원스토어'라는 자체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양대 플랫폼 '종속'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중이지만 역부족이다. 85%를 장악한 구글 등의 선점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플랫폼 특성상 이용자들의 앱 구매 채널을 바꿔놓기가 쉽지만은 않아서다.

더욱이, 아이폰에선 타 마켓앱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역시 플레이스토어에 원스토어 등 타 마켓 앱을 등록시키지 않고 있어 틈새를 파고 들기 힘겨운 상황이다.

구글과 애플이 국내 게임사들로부터 벌어들인 수수료 수익에 대해 납세의무를 지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구글과 애플은 현재 국내에서 사업형태 상 '유한회사'로 등록돼 있어 매출 및 기타 재무정보를 공시할 의무가 없어 현행법상 이익에 대한 세금을 징수하기 어렵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사진=공정위>

게임업계는 당국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주문하고 있다. 실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지난달 26일 "구글과 애플 같은 글로벌 IT기업들이 시장지배력을 남용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바 있다.

최근 유럽연합(EU)이 구글에 대해 반독점법 위반혐의로 과징금 약 3조원을 부과하면서 국내에서도 이들의 시장 지배력 남용에 관한 논란이 이어진데 따른 대응이다. 구글 등 독점사업자의 시장 지배력 남용을 규제하고 적정 수준의 과세가 가능하도록 관련법 개정도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플랫폼 독과점에서 나오는 시장지배력을 아무런 통제없이 휘두르고 있는 상황"이라며 "납세, 재투자 등 아무런 기여없이 플랫폼을 제공한다는 이유만으로 매출의 30%를 가져가는 비정상적"이라고 주장한다. 이어 "플랫폼 다원화를 통해 종속에서 벗어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성상우 기자 (swseo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