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아베-헤지펀드 일본 기업에 한목소리, 무슨 일?

기사등록 : 2017-08-24 23:2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상호 지분 출자 자본 효율성 크게 저해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헤지펀드 업계가 일본 기업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어 주목된다.

일본 기업들의 상호 지분 출자가 자본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린다며 헤지펀드 업체들이 더 이상 참기 힘들다는 표정이다.

엔화 <사진=블룸버그>

이는 아베 총리가 장기간에 걸쳐 추진해 온 정책과 골자가 같은 것이어서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24일(현지시각) 노무라 홀딩스에 따르면 비금융 부문 상장사의 전체 시가총액 가운데 기업들이 상호 출자한 지분의 비중이 5.7%로 파악됐다.

이는 2002년 6.2%에서 소폭 떨어진 것으로, 아베 총리의 압박이 이렇다 할 효과를 내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헤지펀드 업체 오아시스 매니지먼트의 세드 피셔 매니저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기업 간에 지분을 보유하는 것은 자본 효율성을 떨어뜨릴 뿐 불필요한 일”이라며 “이를 바로잡기 위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개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헤지펀드 매니저들이 일본 기업들에게 이 같은 지분을 매각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하고 나선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자리잡고 있다.

먼저, 피셔 매니저가 지적한 것과 같이 기업의 자본 효율성을 해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머니매니저들은 상호 지분 출자와 관련된 주식의 투자를 피해야 하고, 따라서 투자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도요타는 상호 출자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도요타는 약 70개 기업의 지분을 최소 2%씩 보유하고 있다. 최근 도요타는 경쟁 업체인 마즈다 자동차의 지분을 5% 가량 매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권의 경우 상호 지분 출자가 줄어들었다. 지난 2002년 전체 시가총액 대비 9.1%에 달했던 해당 지분은 최근 4%로 떨어졌다. 하지만 이는 아베 총리의 정책 효과라기 보다 국제결제은행(BIS)의 자본 규제 강화에 따른 결과라는 것이 업계의 판단이다.

일본 기업들의 상호 지분 출자는 수 십년간 지속된 관행으로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한편 적대적 인수합병(M&A) 리스크를 차단하기 위해 동원되는 기법이다.

정부와 투자자들의 압박으로 인해 대기업들은 달라질 것으로 기대되지만 중소기업의 관행을 쉽게 뿌리 뽑히지 않을 것으로 금융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