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조세훈 기자] 금품수수 의혹으로 이혜훈 대표가 취임 74일 만에 사퇴하면서 바른정당이 창당 후 최대위기를 맞이했다. 강성 자강론자인 이 대표가 사퇴하면서 바른정당발(發) 정계개편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향후 노선을 두고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지난달 31일 오후 경기 파주시 홍원연수원에서 열린 바른정당 국회의원 연찬회에 참석한 유승민(왼쪽부터), 정병국 전 대표, 김무성 의원, 주호영 원내대표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
바른정당의 최대 화두는 차기 당권을 누가 쥐느냐에 모아지고 있다. 바른정당은 크게 독자생존과 자유한국당과의 보수대연합, 국민의당과의 중도연합을 놓고 노선 이견을 보이고 있는 만큼 당권을 장악하는 차기 대표가 진로를 결정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일단 당의 최대주주이자 자강론자인 유승민 전 대표를 향한 등판 요구가 거세다. 이 전 대표의 사퇴로 독자 노선이 위태로워졌기 때문이다. 이 전 대표가 당 대표직 사퇴를 언급하면서 "자강이 옳다고 믿는 많은 동지들이 저의 사퇴로 자강의 불씨가 사그라들지 않을까 걱정하는 점들이 고민을 깊게 했다"고 말한 것도 이런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바른정당 소속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8일 한 라디오에 출연해 "(유승민 비상대책위원장에)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유 전 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
바른정당 원외당협위원장들도 '유승민 역할론'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원외당협위원장들은 지난 6일 국회의원-원외당협위원장 연석회의에서 "대통령 후보였고, 창당의 주역인 유 의원이 왜 뒤에 있냐", "유 의원은 당을 살려 당원들에게 대선에서 진 빚을 갚아야 할 때"라고 강하게 주문했다.
유 전 대표도 백의종군하겠다는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서 등판 가능성을 열어뒀다. 유 의원은 비대위원장 등판 가능성에 대해 “당의 총의로 결정할 일”이라며 여지를 남겼다.
명분도 있다. 대선 당시 경쟁자였던 홍준표 한국당 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이미 제1야당과 제2야당의 대표를 맡고 있다.
반면 당내 최다선인 6선의 김무성 의원이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김 의원은 한국당과 보수대연합을 해야한다는 '통합론'의 대표주자다. 김 의원은 대선 당시 그의 측근 의원 12명이 탈당해 한국당에 복당하면서 한때 당내 위상이 크게 추락했지만 당 리더십이 붕괴된 상황에서 당을 수습하고 통합 등 정계 개편을 주도할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다.
다만 김 의원은 "뒤에서 돕는 것이 더 낫다"며 역할론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그렇지만 통합을 위한 정치 행보에는 적극적이다. 김 의원은 최근 보수 야당의 초당적 연구모임인 ‘열린토론, 미래’를 출범시킨 뒤 매주 토론회를 열고 통합의 불씨를 키우고 있다.
일각에서는 3선인 김용태 의원과 김세연 의원 등 ‘젊은 중진’이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바른정당은 당내 구조상 한쪽이 한쪽을 누르기가 쉽지 않다"며 "누가 완벽하게 힘을 얻기 어려운 안좋은 균형상태이기에 봉합형으로 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조세훈 기자 (ask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