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송의준 기자]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 주변 4강(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집중됐던 정상외교에서 벗어나 유럽과 아프리카 등 다양한 국가 정상들과의 양자회담을 통해 '외교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상 4강과의 관계를 우선 중시할 수밖에 없지만, 북핵위기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결의안 채택 과정에서 나타났듯이 한반도 안보는 물론 경제협력에서도 국제사회와의 협력과 공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는 자리에서 “우리 외교가 관성적인 4대국 중심 외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유럽연합(EU)이나 아세안 국가, 아프리카까지도 외교를 다변화하고 넓힐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었다. 이런 외교정책 방향성이 북한의 안보 위협을 계기로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 회의장 영국 대표단실에서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문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각)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 밀로쉬 제만 체코 대통령,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잇달아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외교다변화 시동을 걸었다.
문 대통령은 먼저 유엔본부에서 열린 메이 영국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선 북핵문제와 관련,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영국이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 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준 것을 높이 평가했다.
이에 메이 총리는 “북핵·미사일 위협은 동북아뿐만 아니라 세계 평화와 안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면서 “국제사회가 단합해 이에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두 정상은 향후 안보리를 중심으로 북한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키로 했다. 또 외교·경제·금융·창조산업 4대 핵심 분야에서 양국이 장관급 협의체를 통해 포괄적이고 실질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이를 더 발전시켜 두 나라 간 우호협력관계를 강화시켜 나가자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브렉시트와 무관하게 한·영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통해 교역·투자가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한·영 무역작업반 등을 통해 관련 협의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메이 총리와의 정상회담으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5개국 정상과의 양자 정상회담을 모두 마쳤다.
아울러 5개국 정상들과의 협력 기반을 공고히 다짐으로써 북핵 문제 대응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안보리와의 협조 체제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 회의장 경제사회이사회 의장실에서 밀로시 제만 체코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친 후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과 반다비 인형을 선물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문 대통령은 제만 체코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선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협력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체코 대표팀의 선전을 기원하며 "1988년 서울 올림픽이 냉전을 종식하는 계기를 마련했듯이 이번 평창동계올림픽도 인류의 평화를 증진하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선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인 세네갈이 국제무대에서 한국의 입장을 지지해 온 데 사의를 표하고, 방산분야 협력도 주요 의제로 다뤘다.
문 대통령은 "세네갈 공군이 한국산 훈련기를 도입하는 등 양국 간 국방·방산 분야 협력이 긴밀하게 추진돼 왔다"고 밝혔다. 공적개발원조(ODA) 협력도 거론됐다.
세네갈은 아프리카에서 모범적 민주주의를 구현한 국가로 평가받고 있어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간 교류와 협력이 다방면으로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청와대는 기대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각) 오후 뉴욕 유엔 본부에 마련된 회의장에서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문 대통령은 세르지오 마타렐라 이탈리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도 추진 중이다. 애초 문 대통령은 이날 하이데르 알 아바디 이라크 총리와도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었지만, 아바디 총리가 유엔총회에 불참하면서 무산됐다.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에 이어 오는 11월 베트남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와 필리핀에서 열리는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3·EAS(동아시아정상회의) 참석을 통해 '외교다변화' 범위를 동남아까지 확대한다는 구성이다.
[뉴스핌 Newspim] 송의준 기자 (mymind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