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허정인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자산축소에 대해 “대체로 시장의 예상에 부합하다”고 평가했다. 금리는 동결했다.
그는 앞으로 한은의 통화정책방향은 국내 경기와 물가에 초점을 맞추되, 북한리스크의 전개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이형석 기자 leehs@ |
이주열 한은 총재는 21일 아침 태평로 삼성본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연준의 정상화 속도가) 약간 늦춰질 것이란 시장의 기대가 없진 않았지만 12월 연내 인상이 전반적인 기대”라며 “연준의 이번 결정은 예상에 대체로 부합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따라서 국내 금융시장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연준은 별도로 공개한 점도표(dot plot)에서 올해 한 차례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연준 위원들은 올해 말 기준금리를 1.375%로 예상했다. 개별 점들의 분포를 보면 회의 참가자 16명 중 11명이 중간 값에 몰렸다.
지난 6월 8명이 중간 값에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3명이 늘었다. 더불어 2018년 말 기준금리 중간 값도 2.125%로 3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반영했다.
이 총재는 “올해와 내년에 각각 3차례 인상을 전망했던 것이 시장의 스탠스”라며 “연준의 점도표는 지난 6월과 변동이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따라서 대체로 한은의 전망에 부합하기 때문에 앞으로는 북한리스크 전개상황이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의 금리정책은 국내경기상황, 북한리스크 전개상황을 중요하게 볼 것”이라며 “FOMC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오는 12월 연준이 정책금리는 한 차례 추가 인상하면 우리나라 기준금리보다 금리레벨이 더 높아질 수 있다. 기준금리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이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내외금리차가 통화정책에 고려요인이 될 순 있겠지만 내외금리차만 갖고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며 “결국 국내경기와 물가패스가 가장 중요하고, 여기에 북한리스크가 대두됐으니 셈법은 복잡해졌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허정인 기자 (jeon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