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정경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간 한·중정상회담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냉각된 한·중 관계가 최근 해빙 조짐을 보이면서 일각에선 연내 정상회담과 문 대통령의 방중 성사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크다.
청와대는 27일 한·중 정상회담 추진과 관련, "한국의 사드 유감 표명이 회담의 전제는 아니다"며 "중국으로부터 그런 요구를 받은 적이 없어 그로 인해 고심 중이라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중국이 한·중 정상회담에 앞서 한국 정부에 사드 유감 표명 등 전제조건을 요구했다는 언론 보도를 공식 부인한 것이다. 큰 걸림돌이 될 수 있었던 '사드 유감 표명' 요구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면서 한·중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는 더 커졌다.
지난 7월 6일 독일 베를린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악수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
최근 한국과 중국 사이에서 일어나는 관계 개선 양상을 봐도 그렇다.
특히, 중국이 이달 18일부터 24일까지 치른 중국 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를 전후해 중국의 태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간 중국이 이번 당대회를 통해 시진핑 주석 집권 2기 체제를 공고히 한 다음 한국과의 관계 개선에 본격 나설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는데 실제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지난 26일 롯데호텔에 따르면,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이 최근 자체 온라인몰에서 차단했던 한국 여행상품 검색 및 판매 재개를 위한 협의를 시작하자는 의사를 전달해왔다. 중국 여행사들이 지난 3월부터 한국 단체관광 상품 취급을 중단했는데, 7개월 만에 관광시장이 '해빙'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보다 앞서 양국은 지난 13일 56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협정 재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한·중 통화스와프는 2009년 4월 첫 협정이 체결됐고, 이후 2014년 3년으로 만기가 연장됐다. 하지만, 이달 10일 자정 만기 종료를 전후해서도 양국이 모두 재연장 여부를 밝히지 않아 사드 갈등의 영향을 받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컸다.
이어 24일에는 한국과 중국 국방장관이 2년 만에 전격 회담을 가졌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과 창완취안 중국 국방부장은 필리핀 클라크에서 열린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 참석 계기에 만나 회의장인 아세안 컨벤션센터에서 약 30분간 북핵문제 해법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한·중 국방장관 회담이 열린 것은 2015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창완취안 국방부장이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ADMM-Plus에서 회담한 이후 사드 배치 문제로 양국 국방교류·협력은 전면 중단됐다.
중국의 이 같은 대한국(對韓國) 정책 기조 변화에 당장 다음 달 베트남, 필리핀에서 잇따라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APEC) 정상회의,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한·중 정상 간 만남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별도로 한국 외교당국은 올해 안으로 문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고, 시 주석이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에 맞춰 답방 형식으로 한국을 찾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지난 7월 6일 독일 G20 정상회의 계기에 개최된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 간에 문 대통령의 방중에 대해서 원칙적인 합의가 있었다"며 "그에 따라 외교채널을 통해 관련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도 시 주석과의 만남을 기대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5일 시 주석에 보낸 축전에서 당 총서기로 연임한 것을 축하하며, "가까운 시일 내 주석과 다시 만나 올해 수교 25주년을 맞이한 한·중 관계를 다방면에서 심화시키고, 실질적인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로 발전시켜 나가는 한편, 한반도 및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한·중 정상회담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갈 거다, 할 거다 이렇게 주장하는 건 너무 이르다"고 조심스런 입장을 보였다.
[뉴스핌 Newspim] 정경환 기자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