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광고

[ANDA 시론] 우리은행장 ‘낙하산 논란’,기득권 수성 명분은 안돼

기사등록 : 2017-11-21 10:4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낙하산 빌미로 개혁과 혁신 미뤄선 안돼
기업가치 높이는 능력 갖춘 리더 뽑아야

[뉴스핌=황남준 논설실장] 연말 금융계가 우리은행장 ‘낙하산 인사’ 논란으로 벌집 쑤신 듯 소란스럽다. 얼마 전 손해보험협회장에 김용덕 전 금융감독원장이 임명되면서 촉발된 낙하산 인사 논란이 급기야 차기 우리은행 선임과정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일각에선 관치금융의 망령이 되살아 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은행연합회장, 생보협회장등 협회장과 달리 우리은행장 자리에 생소한 외부 인사가 '낙하산'으로 내려오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낙하산 인사가 우리은행의 기업가치 제고라는 목표를 흐리고 조직을 분열로 이끌수 있기 때문이다.

협회는 이익단체이다. 업계의 민원을 해결하고 이익을 대변하는 회장은 문제를 풀기 위해 힘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 덕목중의 하나이다. 힘 있는 인사가 협회장으로 선임되는 것은 나름 합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렇지만 투입된 공적자금을 회수하고 기업 경쟁력을 키워야 하는 우리은행의 경우 낙하산 인사는 정말 곤란하다. 우리은행 임원추천위원회가 인선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듯이 ‘지속성장과 사회적 책임을 다해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경영능력과 경험을 갖춘 리더’가 선임의 최우선 순위에 있어야 한다.

그래야 공적자금을 회수해 국고를 튼튼히 할 수 있고 금융발전을 기할 수 있다. 능력과 자격이 없는 인사가 낙하산으로 내려와 우리은행을 접수하면 이는 곧 국고 낭비에 다름 아니다.

그럼에도 최근 차기 우리은행장 인선 과정에서 불거진 낙하산 인사 논란은 초점을 비껴나 있는 듯하다. 무언가 석연치 않다.

낙하산 인사가 논란의 중심이 되면서 차기행장 선임의 가장 큰 덕목인 ‘지속성장과 기업가치 제고’라는 기준은 슬그머니 자취를 감추었다. 

부실과 비리의 공동 당사자가 다시 지휘봉을 잡으려 하고 외부인사가 차기행장으로 거론되는 것을 거부하는 논리는 타당할 수 있을까.

낙하산 인사 논란의 배후에는 우리은행의 파벌 경영과 인사 비리를 덮으려는 기득권 세력의 숨은 의도가 도사리고 있다는 지적을 면할수 없다.

문재인 정부들어 금융정책과 금융인사를 좌지우지하는 ‘보이지 않는 콘트롤 타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시장논리가 작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옛 관치금융의 망령과 폐해를 막을 수 있는 순기능이 있다.

그렇다고 기득권을 활용해서 양 계파가 차례로 은행의 경영권을 차지하면서 우리은행을 더 이상 개혁하기 힘든 ‘박제 공룡’으로 만들어선 곤란하다. 채용비리 문제로 현직 행장이 사의를 표명하면서 차기 은행장 선임 시위가 당겨졌다.

당연히 우리은행 적폐청산, 경영혁신 등도 차기 행장 선임의 중요한 잣대가 되어야 한다. 낙하산 인사 논란으로 덮을 과제가 아니다.

내 외부 출신 인사를 아우르는 10명 내외의 후보에 대해 철저히 능력 위주로 검증해 차기 우리은행장을 결정해야 한다. ‘낙하산’을 빌미로 우리은행이 개혁과 경영혁신의 무풍지대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계파 이익과 낙하산 인사 논란을 잠재우고 우리은행의 가치를 높이고 성장과 혁신을 이룰 수 있는 실력있는 인사를 뽑아야 한다.

 

[뉴스핌 Newspim] 황남준 논설실장 (wnj777@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