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전면적인 무역 마찰에 경기 하강 리스크가 불거진 가운데 미국과 유럽의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 스테그플레이션이 지구촌 경제를 강타할 것이라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경제 성장이 정체된 가운데 인플레이션이 가파르게 치솟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는 주자이다.
미국 자동차 수출입 현장 <출처=블룸버그> |
29일(현지시각) 미 상무부에 따르면 소비자물가가 6년래 최대폭으로 상승하며 연방준비제도(Fed)의 목표치를 뚫고 올랐다.
연준 정책자들이 주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가 5월 연율 기준 2.3% 상승, 지난 2012년 3월 이후 최대 폭으로 치솟았다.
뿐만 아니라 PCE 물가는 지난해 초 이후 처음으로 연준의 목표 수준인 2.0%를 웃돌았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변동성이 높은 음식료와 에너지를 제외한 핵심 PCE 물가 역시 2012년 4월 이후 처음으로 2.0%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핵심 물가도 연준의 목표 수준에 이른 셈이다.
이달 통화정책 회의에서 무역 마찰과 정책 불확실성보다 인플레이션에 무게를 둘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한 연준이 예고한 대로 올해 네 차례의 금리인상을 단행할 여지가 한층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유로존 인플레이션도 1년여만에 유럽중앙은행(ECB)의 목표 수준에 도달했다. EU 통계청에 따르면 19개 회원국의 소비자물가가 6월 연율 기준으로 2.0%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2월 이후 최고치에 해당한다.
물가 상승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이 투자자들 사이에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촉발시킨 관세 전면전이 후끈 달아오르면서 물가 상승을 부채질할 것이라는 얘기다.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로 인해 식품업체부터 자동차 업계까지 미국 기업들이 원가 상승에 홍역을 치르고 있고, 중국과 유럽, 신흥국으로 번진 보복 관세는 농산물과 제조 상품의 가격을 끌어올릴 전망이다.
여기에 국제 유가 상승도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하는 요인이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회원 산유국들의 하루 100만배럴 증산 합의에도 유가는 고공행진하고 있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원인이다.
문제는 지구촌 곳곳에 무역 장벽이 들어서면서 실물경기가 둔화될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주요국 정책자와 투자은행(IB) 업계는 최근 연이어 경기 침체 가능성을 경고했다.
이날 물가 지표에 투자자들은 스테그플레이션을 점치고 있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해 유명세를 탔던 피터 시프는 자신의 팟캐스트를 통해 고 인플레이션과 마이너스 성장률을 의미하는 ‘S’의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유로존보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통제하기 어려운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며 “이에 따른 충격이 전세계 경제에 번지면서 1970년대 지미 카터 정부 당시와 같은 상황이 재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스테그플레이션이 인도와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에 이미 가시화되기 시작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