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노동 강도가 높은 직업군 중 하나인 여의도 증권가에서도 근무시간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증권업계는 금융업 특성을 감안해 시행시기가 2019년 7월까지 늦춰진 상태. 하지만 이미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다양한 대체 근무제 도입을 통해 주 52시간 근무제에 선제 대응하고 있다.
여의도 증권가 전경. |
증권사 중 노동시간 단축에 가장 적극 대처하는 곳은 KB증권이다. KB금융지주를 모기업으로 둔 만큼 다른 증권사보다 먼저 주 52시간 근무제 조기 도입을 준비중이다.
이미 지난달 27일부터 본사와 모든 영업점을 대상으로 PC 오프제와 유연근무제를 적용하고 있다. ‘오전 8시 출근-오후 5시 퇴근’을 원칙으로 업무 외 시간에는 PC가 강제 종료된다. KB증권은 출퇴근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시차근무제와 업무가 몰리는 특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일하고 나머지 시간에 근로시간을 줄이는 탄력근무제도 함께 도입했다.
KB증권 관계자는 “노사 모두 근로시간 단축에 공감하고 일찌감치 준비했던 게 사실”이라며 “일부 부서를 제외하곤 사실상 주 52시간 근무제에 돌입했다고 보면 된다”고 전했다.
한국투자증권 역시 주 52시간에 맞춘 근무시간 조정에 나섰다. ‘오전 8시 출근-오후 6시 퇴근’을 기본으로 하되 수요일은 퇴근을 1시간 단축키로 했다. 시차출퇴근제는 물론 특정기간에 업무량이 몰릴 경우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도입했다.
NH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 등 다른 대형사도 근무시간 단축을 위한 제도를 이미 시행중이거나 새롭게 추가했다. 특히 2014년부터 PC오프제를 도입한 NH투자증권은 내년 1월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을 목표로 노사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형사 뿐 아니라 중소형사들 역시 주 52시간 정착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최근 사명을 바꾼 현대차증권은 매일 오후 5시 컴퓨터가 강제 종료되는 PC오프제를 도입했다. 추가 근무시에도 1시간마다 종료 여부를 다시 확인해 불필요한 잔업을 원천 차단한다. 이미 지난해 PC오프제를 시범 채택했던 교보증권도 탄력근무제를 시범 운영중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일선 증권맨들 역시 이 같은 분위기에 대체로 긍정적이다. 당초 실현 여부에 대한 의구심이 적지 않았지만 이미 노동시간 단축 효과를 보고 있다는 반응도 적지 않았다.
지점에서 근무하는 대형 증권사 한 직원은 “업무가 끝나 먼저 퇴근해도 크게 신경쓰지 않는 분위기”라며 “각자 처한 환경에 따라 가정에 충실하거나 자기개발에 매진할 수 있어 만족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언론 및 대관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들에게도 비슷한 대답이 돌아왔다. 평소 저녁 약속이 끊이지 않았다는 한 증권사 홍보실 관계자는 “전날 식사 자리가 길어져도 다음 날 여유롭게 출근할 수 있어 부담을 한층 덜었다”며 “젊은 직원들을 중심으로 가치관이 달라지면서, 오래 있는 것을 미덕으로 치던 업계 관행 또한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고 귀띔했다.
다만 일반직군과는 달리 리서치센터나 트레이딩룸 등의 특수직군들에 대해선 주 52시간 근무제가 정착되기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란 관측도 있다.
실제로 해당 직군은 정규직이 아닌 고임금 계약직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직업 안정성이 떨어지는 대신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성과로 보상받는 체계다. 이들에게 일괄적인 근무시간을 강요하는 것은 역차별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사실상 24시간 운영되는 전산, 외환 분야도 상황은 비슷하다. 특히 안정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핵심인 전산업무의 경우 현재 근무 체계로는 주 52시간 근무제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추가 채용 등 특수 업무에 대한 대책이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대해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같은 증권사 내에서도 다양한 직군과 업무가 존재한다”며 “부서간 처한 현실이 다른 만큼 이에 대한 교통정리가 주된 과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mkim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