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민경하 기자 = 까사미아 토퍼(깔개)에서도 라돈이 검출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생활 제품에 대한 방사능 검사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2일 대진침대로 불거진 '라돈 사태'가 3개월이 다 돼가지만 여전히 사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난 30일 원안위는 까사미아의 토퍼에서도 라돈이 검출돼 회수조치를 명령했다고 발표했다. 회수 대상은 총 1만 2395개에 달한다.
이날은 대진침대 본사에 쌓인 2만4000여 개의 라돈 매트리스 해체 작업이 시작된 날이기도 했다. 끝난 줄 알았던 '라돈 사태'가 다시 이어지자 소비자들은 불안감에 휩싸였다. 특히 침대에 이어 침구류에서도 라돈이 검출됐다는 사실에,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생활밀착형 제품에 대한 불신의 목소리도 생기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의 재발 방지를 위해 생활제품에 대한 방사능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문제가 된 음이온 발생 제품 같은 경우, 대부분 광물원료를 사용해 방사능 발생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신체와 가까운 생활밀착형 제품이 많은 만큼 별도의 안전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까사미아 홈페이지에 공지된 리콜 안내문 [사진=까사미아 홈페이지 갈무리] |
이재기 방사선안전문화연구소장은 "생활제품에 대한 방사능 안전 점검 제도가 전무한 상태"라며 "적어도 광물 원료를 사용하는 제품에 대해서는 방사능 검사를 의무화하고, 이를 최초 원료 생산자가 책임지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소장은 이번 '라돈 사태'를 특정 원료의 문제로 봐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 소장은 "토양과 관련된 물질이라면, 라돈과 같은 방사능의 검출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며 "이번 사태의 원인이었던 모나자이트는 국내에 없는 수입 원료라 그나마 추적과 관리가 쉽지만, 자연상태의 방사성 물질은 추적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특정 원료의 유통경로를 추적하는 것만이 제2의 '라돈 사태'를 방지하는 해답이 아니라는 것이다. 최초 원인이 될 수 있는 원료가 광범위한 만큼, 위험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천연 원료를 사용하는 제품은 방사능 안전 점검을 시행하는 것이 사태 재발을 막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지난해 한 천연화장품 업체의 머드팩에서 기준 이상의 방사능이 검출돼 판매가 중지된 바 있다. 문제 됐던 원료 또한 국내에서 채취한 천연물질이었다.
이 소장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생활 주변 방사선에 대한 소비자들의 경각심이 높아졌다"며 "정부 당국이 종합적인 지침을 제시해주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204mk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