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라이프·여행

"병원 내 항생제 내성균 감염 취약…치료제 지원책 필요"

기사등록 : 2018-11-07 14:0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2050년 항생제 내성균 사망자 1000만명
"미국 등 치료제 지원 나서는데 한국은 미비"

[서울=뉴스핌] 김근희 기자 = 매년 전 세계 70만명이 항생제 내성균에 의해 사망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지만, 한국의 항생제 내성균 감염 관리 체계와 치료제 지원 제도 등이 미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7일 서울 회현동 한국화이자제약 본사에서 항생제 내성균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김근희 뉴스핌 기자]

7일 서울 회현동 한국화이자제약 본사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종합병원, 요양병원 등을 거치며 많은 환자가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되고 있지만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인력 등이 부족하다"며 "항생제 내성균이 토착화될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한국화이자제약은 다음 주 '세계 항생제 내성 예방 주간'을 맞아 관련 설명회를 열었다.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점차 변해서 항생제에 저항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뜻한다. 세균들은 이러한 내성균을 서로 주고받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2013년 인도에서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된 환자가 그 사실을 모르고 한국 병원에 이송됐다가, 4개 병원에서 해당 내성균이 유행한 바 있다.

이 교수는 "병원 자체가 항생제 내성균이 감염되기 쉬운 환경"이라며 "중환자가 많은 종합병원과 요양병원의 항생제 내성률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국내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감염자 수는 1만 5000명에 육박한다. 서울시가 지난 6월부터 1년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CRE 보고 건수는 8000여 건이다. 직접적인 사망 원인은 아직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이 중 40명이 사망했다.

항생제 내성 문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공중 보건의 위협 요인이다. 장기 요양 병원에서의 감염 4건 중 1건은 항생제 내성균에 의해 유발된다. 의료계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항생제 내성 사망자는 2050년에 10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한국 정부는 2016년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 대책을 내놨지만, 관리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2020년 대비 항생제 사용량은 20% 감소하겠다고 계획을 세웠지만, 실제 항생제 사용량은 크게 줄지 않았다.

이 교수는 "병원은 항생제 사용을 제한하는 '항생제 스튜어드십'을 갖추고, 정부는 이런 병원들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 유도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병원 감염관리 등의 수행을 관리하는 상위부서가 따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항생제 내성균을 막기 무엇보다 치료제 보급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약값 문제 등을 이유로 항생제 신약들이 한국에 출시되지 못 하는 상황이다.

2012년 이후 달바반신, 테디졸리드, 오리타반신, 세프톨로잔-타조박탐, 세프타지딤-아비박탐, 메로페넴-버보박탐 등 11개 항생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사를 받았다. 그러나 이 중 한국 허가를 받은 제품은 2개 품목에 불과하다.

출시된 지 10년이 지난 복제약(제네릭)까지 나온 상황임에도 국내에 들어오지 못하는 항생제도 있다. 심지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지만, 약값 협상에 실패해 국내에 나오지 않는 항생제도 많다.

동아에스티가 2015년 개발한 항생제 '시벡스트로'의 경우, 국내 업체가 만들었음에도 약값이 낮아 한국에 출시하지 않았다.

신약 항생제 개발을 독려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항생제는 내성 때문에 처방건수가 높지 않아, 제약사들이 개발을 꺼리는 의약품이다. 이에 미국은 2012년 항생제 개발 촉진법을 시행했다. 허가 단계를 절반으로 줄여주거나, 특허 기간을 늘려줬다.

이 교수는 "다제내성균과의 전쟁에서 이기려면 치료제 확보가 시급하다"며 "제약사들이 항생제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ke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