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근희 기자 = 궐련형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보다 유해성이 낮다는 증거가 없는 만큼,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한 담배 연기 뿐 아니라 담배 제조 시 첨가물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나오키 쿠누기타 일본 국립보건의료과학원 박사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열린 담배 규제 정책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근희 기자] |
나오키 쿠누기타 일본 국립보건의료과학원 박사는 23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열린 '담배 없는 미래세대를 위한 담배규제 정책포럼'에서 궐련형 전자담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쿠누기타 박사는 "일본 흡연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금연 의지가 있는 흡연자가 궐련형 전자담배를 사용했다"며 "그러나 궐련형 전자담배 흡연자의 72%가 일반 담배도 이중으로 사용하고 있어 전자담배가 금연에 도움을 주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연구 결과에 따르면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의 니코틴 수치는 일반담배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합성원료와 살충제 원료인 아세나프텐의 수치도 일반담배보다 3배 높았다.
다만 국제암연구소(IARC)가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한 담배특이니트로사민(TSNA) 수치는 아이코스가 일반담배의 5분의 1수준이었다. 일산화탄소 농도도 일반담배의 100분의 1을 기록했다.
또한 담배잎 온도 변화에 따라 니코틴과 기타물질들의 수치가 다르BC도 온도범위의 차이에 따라 니코틴 수치 등에서 차이가 나는 것이다.
쿠누키타 박사는 "담배회사의 후원을 받은 연구에서 궐련형 전자담배가 일반담배보다 유해물질의 수치가 낮다고 발표하긴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궐련형 전자담배가 일95하지 않고 있다"며 "궐련형 전자담배가 일반담배보다 위험성이 적다고 입증할 수 있는 연구 결과는 없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WHO에 따르면 모든 형태의 담배는 유해하다"며 "궐련형 전자담배에 대한 충분한 지식 없이 결론을 낼 수 없는 만큼 독립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 두 번째 연사로 나선 김희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담배 성분 첨가물에 대한 규제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교수는 "한국의 경우 담배 성분 첨가물에 대한 별도의 규제가 없다"며 "담배 성분 공개와 첨가물 규제를 추진하기 위한 법안들이 올라와있지만 각 법안 내용이 다르고 세부사항도 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담배는 주재료인 연초 외에 최대 600가지가 넘은 화학물질이 첨가돼 있다. 그러AD(FDA) 내 담배제품센터(CTP)에서 △담배 제품의 제조요건 △담배 구성성%8지에 담배 연기에 포함된 6가지 발암물질, 니코틴, 타르르 용량 등을 표시해야 한다.
미국, 유럽, 브라질은 현재 담배 성분과 첨가물에 대한 별도의 규제가 있다. 미국은 식품의약국(FDA) 내 담배제품센터(CTP)에서 △담배 제품의 제조요건 △담배 구성성분 규제 △유해성분 공개 △판매 허가 등을 담당하고 있다.
CTP 인력은 과학자, 전문가, 의사, 법률가, 경제학자 등 800명에 이른다. 앞으로 FDA는 CTP 인력을 1000명까지 늘릴 계획이다.
또한 미국은 담배회사가 '유해성이 낮다'는 광고를 하기 위해서는 위해성 저감 담배제품(MRTP) 심의를 받아야 한다.
김 교수는 "가열담배 니코틴, 타르 등 유해성분 함량 표시 의무화를 추진하고, 담배 회사의 첨가물 성분 제출을 의무화 해야 한다"며 "신종담배 제품 시판 전 검토 제도도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이외에도 린제이 로버트슨 영국 바스대학교 담배규제연구소 박사 △이성규 국가금연지원센터 센터장 △강지언 제주금연지원센터장 △임동훈 광주금연지원센터장 △조홍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등이 참석해 발표와 토론을 한다.
ke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