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오피니언

[ANDA 칼럼] 글로벌 부채문제 부각, 금융위기 다시 온다

기사등록 : 2019-01-09 17:4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이영기 국제부장 = 지난해는 글로벌 투자자금이 채권시장에서 주식시장으로 향한 한 해였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서면서 미국과 중국 간 무역갈등이 심화되고 글로벌 경제의 둔화 전망과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자금 흐름이 역전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안전자산으로 숨으려는 투자자들의 심리가 뚜렷해진 것이다.

새해 들어 글로벌 증시가 조금 살아나고 있지만 글로벌 경제의 성장 모멘텀 약화로 그 향방을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더불어 그간 강세 일로였던 미국 달러도 올해 하반기에는 약세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나 블룸버그통신 등은 올해 글로벌 금융시장 분위기는 미·중 무역전쟁,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미국 민주당의 하원 장악,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 등이 결정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중 간 무역전쟁은 뚜렷한 해답이나 진행 경로에 대한 예상이 어렵고, 유럽에서는 브렉시트 등 반통합 움직임과 프랑스의 노란 조끼 시위처럼 사회·정치적 불만이 표출되고 있다. 이는 결국 금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가 간, 정책 간 부조화가 뚜렷해지고 정책 여력도 부족해 위기 발생 시 효과적 대응의 한계와 함께 크고 작은 시장 발작이 수시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제 기구나 석학들은 국제 공조 체제가 약화된 지금 글로벌 경기 둔화와 함께 2008년 금융위기 후 다시 부풀어오른 부채 규모에 대한 세계 각국의 대응 능력에 의구심을 감추지 않고 있다.

데이비드 립튼 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는 주요국들이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해 초래될 심각한 결과들에 위험천만하게도 무방비한 상태라고 진단했다. 각국 정부는 다음 경기 침체가 닥쳤을 때 재정 또는 통화 정책에서 공조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 것이다.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학 교수는 2018년까지는 글로벌 경제가 동반 성장을 이어갔지만 2019년에는 그 모멘텀이 둔화되면서 2020년에는 경제 위축과 금융위기를 우려했다. 그는 2008년 위기와는 달리 이제는 정부가 이에 대응할 정책 여지가 더 이상 없다는 점을 그 이유로 꼽았다.

카르멘 라인하트 하버드대학 교수는 미국 내의 이머징마켓 부채(USEM: 저신용도 미국 기업 부채)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다. 2008년 서브프라임 버블이 터진 후 10년 경과한 시점에 서브프라임 대출의 자리에 미국 기업의 부채가 들어앉았고, 그 규모는 낮은 이자 부담 때문에 엄청 부풀어 있다.

더구나 조달된 자금이 지속 성장을 위한 투자에 사용된 것이 아니라 자사주 매입이나 배당금 지급으로 대부분 사용됐다는 점은 더 큰 문제다.

S&P에 따르면 미국의 기업부채 발행액은 2017년 최고를 기록하고 지난해 11월까지 전년 대비 35%나 늘어났다. 이는 2012년보다 70% 증가한 수준으로 신기록이다. 경기가 꺾인다는 전망 속에 미국 경제가 또 하나의 뇌관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세계은행이 올해 글로벌 성장 전망을 3.0%에서 2.9%로 하향 조정한 가운데 불거지는 부채 문제가 글로벌 금융시장 앞에 떡 버티고 있는 형국이다.

 

007@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