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북미정상회담] 오늘 트럼프·김정은, 8개월 만의 재회...스트롱맨vs로켓맨 담판 주목

기사등록 : 2019-02-27 05:4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김정은, 세계 언론의 스포트라이트 받으며 베트남 도착
트럼프, 출국 전까지 북한 굴복에 강한 자신감 내비쳐
두 정상, 이틀 간 최소 다섯 차례 만날 듯 '강대 강' 대결

[하노이=뉴스핌] 특별취재단 = 결전의 날이 밝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현지시각) 저녁 공식 만찬을 시작으로 1박2일의 본게임에 돌입한다.

두 정상은 이틀 간 최소 다섯차례 이상의 만남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6월 1차 싱가포르 정상회담에 이어 8개월 만의 조우다. 1차 회담이 선언적 의미가 강했던 것에 반해 이번 만남에서 두 정상은 구체적인 협상의 성과물을 안고 본국으로 돌아가야 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두 정상 간 힘겨루기가 초반부터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하노이에 먼저 도착한 것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다. 그는 무려 65시간 동안 기차로 3800km를 달려 이 곳 하노이에 도착했다. 전용 비행기를 이용하면 3시간 반 만에 주파가 가능한 거리임에도 굳이 열차로 중국 대륙을 종단한 김 위원장이다.

[랑선성=뉴스핌] 특별취재단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6일 오전 베트남 랑선성에 위치한 동당역에 도착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2019.02.26 kilroy023@newspim.com

미국과의 협상에 있어 중국과의 친밀한 관계를 과시하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3박 4일의 고된 일정을 자처했다는 점에서 이번 회담에 임하는 김 위원장의 결연한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아울러 중국 대륙을 횡단하는 동안 자의반 타의반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은 것도 김 위원장 입장에선 소기의 성과라 할 수 있다.

반면 트럼프 미 대통령은 약소국을 상대하는 세계 최강 국가의 지도자답게 협상을 앞두고 시종일관 자신감 있는 모습을 내비쳤다.  

일각에선 이번 회담을 '세기의 핵담판'이라고 칭하지만 각 종 대북제재로 북한의 숨통을 쥐고 있는 것이 미국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미 힘의 균형이 한 쪽으로 쏠린 두 국가의 대결임을 부인하기 어렵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출국에 앞서 트위터를 통해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진다면 빠르게 경제강국이 될 것", "김 위원장이 현명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북한을 압박했다.

앞서 지난 19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해) 나는 특별히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며 여유로움을 드러냈다.  '으스대는 폭군'이라는 평가를 받는 트럼프 대통령의 면모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대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각) 오후 9시께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해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내리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사업가 출신의 트럼프 대통령과 3대째 세습 독재를 이어나가고 있는 김정은 위원장의 두 번째 만남은 여러모로 '강대 강'의 회담이 될 전망이다. 두 정상은 누구 못지 않게 과감하고 저돌적인 행동을 즐긴다.

두 정상은 1박 2일 동안 대략 다섯 차례 만남을 가질 것으로 보이는데 27일 저녁 짧은 회동에 이어 만찬을 갖고 다음 날인 28일 정식 단독회담과 오찬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후 확대정상회담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싱가포르 회담 때와 마찬가지로 두 정상이 산책을 하는 등 이벤트를 연출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오후 9시께 전용기 에어포스원을 통해 하노이 공항에 도착, 숙소인 JW메리어트 호텔로 직행했다.

 

김선엽 기자 sunup@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