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문화

국공립미술관, 기술 융복합 아트전 주도하는 이유

기사등록 : 2019-03-28 10: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불온한데이터' 전 '웹-레트로' 전 개최
현재까지 기술융복합 아트 시장성 없어
"현대미술 조명·미술사 정리 역할 강조"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최근 미술계는 기술을 결합한 융복합 아트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시장의 활성화가 가져온 결과다.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은 이러한 미술계의 흐름을 적극 반영하는 추세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융·복합 미술전시를 2013년부터 기획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960년대부터 이어온 미국의 예술가-공학자들의 모임 'E.A.T.(Experiments in Art and Technology)'의 회고전을 준비했고, 올해는 서울관에서 '불온한 데이터' 전을 선보이고 있다. 이 전시는 디지털 사회에서 데이터의 기능과 역할은 무엇이며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예술가 시선으로 조명한다. 한국, 영국, 덴마크, 중국 등 10여개(팀)이 참여한 국제전이다.

[서울=뉴스핌] 백인혁 인턴기자 =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3,4 전시실에 레이첼 아라(Rachel Ara) 작가의 '나의 값어치는 이정도'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2019.03.21 dlsgur9757@newspim.com

국립현대미술관의 융복합 미술전은 다원예술을 비롯해 예술과 기술의 결합 전시까지 포함한다. 강승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은 "서울관은 2013년 개관할 때부터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보여주는 미술관으로 특화시켰다. 국립미술관의 역할 중 하나는 동시대 미술을 조명하는 거다. 향후 미술과 기술이 결합된 전시, 실험적 전시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립미술관은 기술이 접목된 작품을 소개하는 전시를 꾸준히 기획했다. 음성인식, 인공지능(AI), 딥러닝 등 폭넓은 현대기술과 예술작품이 만난 '디지털 프롬나드' 전(서울관)과 1인 미디어 시대의 뉴스 가치를 담은 '뉴스, 리플리에게'(북서울관), 가상공간을 미학적으로 해석한 '유령팔'(북서울관) 전시 등이 대표적이다. 

기혜경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운영부장은 "시대가 디지털화됐다. 미디어는 인간의 기능으로 확장됐다. 휴대폰 배터리가 없을 때 우리는 불안을 느끼지 않나"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기술의 발달이 현재 사회의 모습이고 이를 미학적으로 질문을 던지는 사회 현상을 전시로 담는다. 아울러 향후 우리가 마주할 이야기도 소개한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백인혁 인턴기자 =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3,4 전시실에 레이첼 아라(Rachel Ara) 작가의 '나의 값어치는 이정도'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2019.03.21 dlsgur9757@newspim.com

서울시립미술관은 올해 월드와이드웹 30주년을 기념하는 인터넷 아트 전시 '웹-레트로'를 지난 12일 개최했다. 예술의 관습이 인터넷을 통해 어떻게 변모해왔는지 국내외 작품을 통해 재구성했다. 이 전시는 1990~2000년 사이 웹아트, 넷아트의 역사적 흐름을 정리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전시를 기획한 권혜인 큐레이터는 "넷아트는 인터넷, 기술, 미디어를 기반으로 미술가들이 사회에 질문을 던지기 시작하면서 발생했다. 넷아트 작가들은 커뮤니티를 만들거나 물리적 공간과 상관 없이 실시간으로 인터넷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작품을 만든다"고 말했다. 이어 "스토리는 자유자재로, 그리고 질문하는 형식으로 구성한다. 그러면서 관람객의 새로운 행동을 이끌어낸다"고 덧붙였다.

'웹-레트로' 전시는 미술관뿐 아니라 인터넷이 되는 어느 곳에서나 감상할 수 있다. 작품마다 인터넷 주소가 있다. 권 큐레이터는 "'웹 레트로' 전시 작품은 온라인 홈페이지가 있어 접속이 가능하다. 200여개 작품이 링크돼 어디서든 접속해 확인할 수 있다. 미술관을 찾지 못하는 대중을 위한 전시"라고 말했다.

서울시립미술 북서울관에 전시된 양아치의 '전자정부' [사진=서울시립미술 북서울관]

웹아트의 형식은 이렇다. 관람객이 작가의 작품을 웹주소로 접속해 직접 감상하고 참여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번 전시에 참여한 양아치 작가의 작품 '전자정부'는 국가와 기업의 욕망이 만들어낸 감시와 통제의 문제를 비판한다. 작가가 설계한 '전자정부' 홈페이지에 접속해 질문에 따라 이용자가 이름, 성별, 주민번호등록번호 등을 입력하는 과정을 거친다. 단순한 감상을 넘어 행동을 유도한다. 유료회원으로 등록할 경우 단돈 10달러로 자신의 정보와 '전자정부' 회원 정보까지 다 감시할 수 있다. 전시장에는 인터넷 가상 공간의 '전자정부'를 오브제 형식으로 설치했다.

이러한 기술 융합 아트 혹은 넷트로를 소재로 한 전시는 국공립미술관이 주도한다. 시장 경쟁력 문제 때문이다. 케이옥션 손이천 실장은 "현 시점에서는 기술복합형 예술작품은 실험적이고 초기 단계라 생각한다. 그래서 옥션에서는 상품 가치가 높지 않다. 1차 시장(미술관이 작가에 직접 구매), 2차 시장까지 오려면 조금 더 시간이 걸릴듯 하다"고 전망했다. 이어 "AI나 음성인식 등 기술융복합형 아트는 백남준 작가 같은 비디오 아트와 또 다른 측면"이라고 덧붙였다. 

기혜경 운영 부장은 "살아온 흐름을 읽어야하는 게 국공립미술관의 소명이다. 미술계에 새로운 흐름이 안착되고 평가를 받아 시장까지 가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사립미술관은 개인이나 설립자의 지향점이 전시의 방향을 좌우한다. 그렇기에 사립미술관에서 기술 혹은 융복합미디어 전시를 개최하는 게 쉬운 프로젝트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립미술 북서울관에 전시된 정성윤의 '기억 장치' [사진=서울시립미술 북서울관]

기술 융합 아트를 국공립미술관이 주도하는 이유는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과도 무관하지 않다. 기혜경 운영 부장은 "국공립미술관의 역할은 미술사를 적립하는 거다. 크게 두 가지인데 지나간 미술사가 동시대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들여다 보는 것, 그리고 미술계의 새로운 흐름을 정리하며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서울미술관은 기술과 예술을 융합한 전시를 추후에도 이어나갈 계획이다.

강승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실장에 따르면 국렵현대미술관이 소장하는 미디어 아트는 200여점이다. 비디오 아트와 테크널러지가 많이 활용된 작품을 포함해서다. 강 학예실장은 "지난해 E.A.T. 전시를 진행하면서 한스 하케의 '아이스 테이블'을 구매했다"고 밝혔다.

권혜인 큐레이터는 "넷아트는 인터넷에 오픈된 작품이다보니 구동 환경이 바뀔 때마다 작품을 정비해야 한다. 보존이나 소장에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최근 장영혜 작가(장영혜 중공업)의 작품이 홍콩 M+에서 소장된 바 있다. 장영혜 중공업은 국제적인 인터넷 아트상인 웨비상(Webby Awards)을 받은 그룹"이라고 설명했다.
 

89hklee@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