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면전이 사실상 재점화된 가운데 월가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움직임이다.
지난 1일 이틀간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가 발표된 뒤 시들해졌던 금리인하 기대감이 다시 번지기 시작한 것.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본부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날 연준 정책자들 사이에는 미국 경제 펀더멘털이 여전히 탄탄하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국채 선물시장은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13일(현지시각)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 따르면 미국 국채 선물시장은 연말 연방기금 금리를 2.075%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현재 2.25~2.50%인 금리가 연말까지 25bp(1bp=0.01%포인트) 이상 인하될 가능성을 예고하는 셈이다.
아울러 정책 금리에 가장 민감한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2.18%까지 하락해 지난 3월 말 기록한 연중 최저치인 2.16%에 바짝 근접했다.
앞서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에 적극 베팅했던 월가는 지난 1일 회의를 마친 뒤 당분간 금리를 올리거나 내릴 만한 근거가 모두 충분하지 않다는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에 후퇴하는 움직임을 취했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 협상 팀이 지난주 결론 없이 무역 담판을 종료한 한편 관세 전면전이 벌어지자 통화정책 기조에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에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시카고 소재 암브로시노 브러더스의 토드 칼빈 선물옵션 부문 부대표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양국 무역 마찰은 연준의 정책 방향을 틀어놓을 수 있는 요인”이라며 “당분간 금융시장 변동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파월 의장은 1일 기자회견에서 정책자들이 주시할 리스크 요인으로 무역 협상 향방을 제시한 바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금리인상 가능성이 제기됐다. 골드만 삭스는 보고서를 내고 관세 시행에 따라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 연준이 금리를 올려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경우 미국 경제가 이중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경고다.
정책자들은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당장 금리인하를 단행해야 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고, 리처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 역시 미 경제 펀더메털이 연준의 목표 부합한다고 판단했다.
에릭 로젠그렌 보스톤 연은 총재 역시 WBUR 라디오와 인터뷰에서 미국 경제가 관세 인상을 감내할 만큼 강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관세 충격으로 인해 앞으로 1~2년 사이 성장률이 둔화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실물경기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월가의 트레이더들은 이와 함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이 보유한 국채 매도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서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한편 미국은 지난 10일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올렸고, 이에 대해 중국은 600억달러 물량의 미국 수입품에 5~25%의 보복 관세로 정면 대응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