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외신출처

"미국 보이콧에 협조 말라" 中 글로벌 IT업체 경고

기사등록 : 2019-06-09 08:4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중국 정부가 IT 업계 경영자들을 소집, 트럼프 행정부의 거래 금지 조치에 협조했다가는 커다란 불이익을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관심을 끌고 있다.

미국의 보이콧으로 인해 세계 최대 통신 장비 업체이자 2위 스마트폰 업체인 화웨이가 글로벌 시장에서 고립될 위기에 처한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화웨이와 미국 5G [사진=로이터 뉴스핌]

IT 패권 다툼이 고조될 경우 충격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깔린 움직임으로, 중국 현지에 진출한 글로벌 메이저들이 난감한 입장에 처했다는 지적이다.

8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지난 4~5일 중국 정부가 글로벌 IT 공룡 업체의 경영자들을 불러 모아 미국의 거래 및 기술 이전 금지 조치에 협조했다가는 끔찍한 결과를 맞게 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이 자리에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와 델, 한국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등 현지에 진출한 IT 간판급 기업들이 참석했고, 특히 반도체 업체가 상당수에 달했다.

이 같은 경고는 중국 정부가 미국의 화웨이 보이콧에 대한 보복으로 이른바 ‘신뢰할 수 없는’ 해외 기업들 명단을 공개할 것이라고 발표한 직후 이뤄진 것이어서 주목된다.

중국 정부 측의 경고는 이틀 간의 모임에 참석한 소식통을 통해 확인됐지만 주요 기업들은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을 회피하는 상황이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첨단 IT 산업은 중국의 중장기 성장 엔진인 ‘중국 제조 2025’ 프로젝트의 핵심에 해당한다.

미국의 거래 제한 조치와 기술 교류 차단으로 인해 IT 패권 다툼에서 밀릴 가능성을 우려한 중국 정부가 강력한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유라시아 그룹의 폴 트리올로 지오테크놀로지 헤드는 NYT와 인터뷰에서 “중국 정책자들 사이에 미국이 자국 IT 기술 발전을 꺾어 놓으려고 한다는 인식이 강하고, 트럼프 행정부가 압박을 멈추지 않을 경우 디지털 경제의 미래가 통째로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9일 일본에서 이강 중국 인민은행장과 회동을 앞둔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중국이 협상 과정에 뒤집은 합의안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관세를 강행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8~2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일본에서 회담을 가진 직후 3000억달러 물량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 도입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