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이 600대 기업의 일·생활균형제도에 미친 가장 큰 영향은 근로시간 관리 강화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주요 대기업이 주52시간 근무제 시행 이후 일·생활균형을 위해 가장 많이 도입한 제도는 집중근로시간제와 같은 근무시간 관리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일·생활균형제도 현황'에서 응답기업 144곳 중 68.8%가 ‘집중근무시간제, 협업시간제 등 근무시간 관리제도’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료=한국경제연구원] |
이어서 ‘보고·결재 업무처리가 가능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 등 전자결재시스템 개편’(56.3%), ‘보고자료 간소화, 회의 자제 등 보고·회의문화 개편’(52.1%), ‘자율좌석제 등 근무환경 유연화’(24.3%) 순으로 실시 중이라고 응답했다. 이번 설문은 복수응답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지난해 7월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이 일·생활균형제도에 미친 가장 큰 영향으로는 ‘근로시간 관리 강화’(53.5%)를 가장 많이 꼽았다. 또 ‘유연근무제 확대’(41.0%), ‘회식·휴가 및 여가활용 문화 개선’(38.9%)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했다.
응답 기업 중 유연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는 기업은 56.3%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52시간 근무 시행으로 추가로 도입된 유연근무제 중에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65.4%로 가장 많았다. ‘시차출퇴근제’(37.0%), ‘선택적 근로시간제’(35.8%),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14.8%)가 뒤를 이었다.
그 결과 현재 기업(81개사)들은 유연근무제 중 ‘탄력적 근로시간제’(66.7%)를 가장 많이 활용했다. 이어 ‘시차출퇴근제’(51.9%), ‘선택적 근로시간제’(44.4%),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22.2%) 순으로 많았다.
유연근무제 도입 효과에 대해서는 ‘업무집중도 제고, 불필요한 야근 감소 등 조직문화 개선’(64.2%), ‘직무 몰입도 및 만족도 상승’(18.6%), 기업 경쟁력 강화(4.9%) 순으로 답했다.
반면 유연근무제를 실시하지 않는 기업은 그 이유로 ‘업종‧직무 특성상 적합하지 않아서’(41.3%), ‘직원 근태 등 인사․노무관리 어려움’(28.6%), ‘고객․거래처 및 타부서 등 대내외 소통 불편’(15.9%) 등을 꼽았다.
정부가 추진 중인 정책 중엔 ‘육아휴직 및 급여 지원’(47.1%)이 근로자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연근무제 시행 장려금, 시간선택제 전환 인건비 지원 등 사업주 지원’(14.6%),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화’(14.6%) 순이었다.
한편 정부 정책 중 기업의 인력 운영에 실제로 가장 부담이 되는 제도도 ‘육아휴직제도’(36.8%)였다.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화’(35.4%)에도 부담을 느꼈다.
응답 기업은 일·생활균형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선 정부가 ‘실시기업 지원금 인상 및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 강화’(38.2%)와 ‘법적 규정 마련 및 위반 사업장 감독 강화’(24.3%), ‘대체인력 채용 지원 강화’(15.3%) 등의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올해 기업들은 일·생활균형과 관련 ‘일하는 문화 변경’(68.8%), ‘유연근무제 실시’(51.4%), ‘출산 및 육아지원’(20.8%) 순으로 중점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추광호 한경연 실장은 “응답 기업의 72.2%가 육아휴직, 직장어린이집 설치 등으로 부담을 느끼고 있어 실시기업에 대한 지원금 인상, 세제 혜택과 같은 인센티브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nana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