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국민들은 저출생의 가장 큰 원인으로 '일자리'와 '교육비'를 꼽았다. 출산 여성에 대한 직장 내 차별, 여성의 경력단절도 주요한 원인으로 지적했다. 고령화시대 가장 필요한 대책은 '노인 일자리'라고 언급했으며 '건강' '돌봄' 해결 등이 뒤를 이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저출생 고령화 거대자료' 분석 결과를 3일 발표했다. 문체부 국민소통실은 2017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SNS 게시물 31만여건을 바탕으로 '저출생 고령화'에 대한 거대자료를 분석했다.
'저출생의 원인'과 관련한 거대자료 연관어를 분석한 결과 '일자리'와 '교육비' 등 경제적 요인과 관련한 핵심어 언급량이 가장 많았다. '일자리' 연관어로는 '맞벌이' '월급' '청년실업'이 언급 순위 상위에 등장했다. 맞벌이가 불가피하지만 취업이 안 돼 출산을 꺼리는 상황으로 분석된다. 출산을 고민하는 사람들의 주된 관심사는 '비용'과 '교육비' 그리고 '주거비' 순이었다.
[표=문체부] |
저출생의 원인과 관련해 '직장(문제)' 등 사회적 요인과 연관된 핵심어 언급량도 많았다. '직장' 연관어로 '차별' '경력단절' 등이 나타나 '직장 내 차별' '여성의 경력단절'을 출산의 걸림돌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령화 문제에서도 '일자리'와 관련한 연관 핵심어 언급이 가장 많았다. 주로 은퇴 이후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소득이 없어 생활비, 의료비 등을 충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한 우려였다.
고령화 시대의 문제로 '건강'과 '독거노인' 문제도 언급됐다. 건강 문제에 대해서는 의료비 지원을, 독거노인 문제와 관련해서는 돌봄 서비스의 확충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서비스 확충과 관련 '예산투입'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예산' 핵심어도 연관어 상위에 올랐다.
[표=문체부] |
정부의 저출생 정책 분야와 관련해서는 돌봄 서비스 지원에 관심이 가장 많았다. 양육비용 지원, 일·가정 양립, 출산·임신 의료비 지원에 대한 관심이 뒤를 이었다. 고령화 정책 분야에서는 일자리, 돌봄, 연금 순으로 주목했다.
저출생 대책 중 돌봄 분야에서는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등 보육 공공성 강화 대책에 가장 주목했다. 양육비 부담완화 분야의 최대 관심사는 아동 수당이었다. 일·가정 양립 분야에서는 육아휴직 지원금 인상, 출산·임신 의료비 지원 분야에서는 산모·신생아 건강 관리 정책에 가장 관심이 높았다.
[표=문체부] |
고령화 대책 중 노인 일자리 분야에서는 양질의 일자리 확대에 가장 주목했다. 건강 분야에서는 건강관리 서비스와 치매 관리 서비스가 최대 관심사였고, 연금 분야에서는 기초연금에 관심이 집중됐다.
한편, 인구정책과 관련한 인식 분석 결과 '정년 65세 연장' 및 '가족 형태'와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 연장'과 관련해서는 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논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흐름 속에 기업의 고임금 부담, 청년 세대와 일자리 갈등을 우려했다.
[표=문체부] |
'가족 형태'와 관련해서는 '1인 가구'에 대한 관심이 가장 컸다. '2인 가구'에 대한 관심도 상승 추세를 보였다. 1·2인 가구는 '돌봄' 문제, 한부모·미혼모 가구는 '양육' 문제, 다문화 가구는 '차별' 문제를 고민거리고 꼽았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