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전기차 배터리, ESS로 한 번 더 달린다...폐배터리 시장 주목

기사등록 : 2019-07-03 16:3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희귀금속 재활용·용도 변경 재사용...비용 절감·환경 영향 축소 기대
본격 개장 전 배터리 제조업체·전기차 생산업체 간 역할 분담 필요

[서울=뉴스핌] 권민지 기자 = 전기차 폐배터리 활용 방안으로 ESS(에너지저장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배터리 분해 후 니켈, 코발트 등의 희귀금속을 '재활용'하던 차원을 넘어 폐배터리 자체를 '재사용'하는 방안이다.

폐배터리 활용은 '재사용'과 '재활용'으로 나뉜다. 재사용은 단순 청소 및 정비를 거쳐 중고품으로 다시 사용하는 방식이다. 기존 배터리의 기능을 활용하되 용도를 변경하는 것이다. 반면 재활용은 분류, 파쇄, 융용 등의 물리·화학 공정을 거쳐 원재료의 형태로 생산에 다시 투입되는 것으로 신규 배터리의 원재료로 폐배터리의 일부가 활용되는 거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 시장의 급속한 성장세에 따라 수년 내 폐배터리 시장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제주테크노파크는 2022년이면 국내 발생하는 폐배터리가 9155대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맞춰 국내 업계의 움직임도 시작됐다. 배터리의 잔존가치를 최대한 활용해 비용절감 효과를 누리고 환경오염 등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겠다는 것이다.

LG화학 오창 전기차배터리 공장 생산라인. [사진=LG화학]

지난해 11월 준공한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폐배터리를 활용해 ESS를 구축한 국내 첫 폐배터리 '재사용' 사례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 활용된 하이브리드ESS는 남산 전기버스에 사용됐던 배터리 10팩(100kWh)과 SK이노베이션에서 생산한 새 배터리(344.88kWh)로 구성됐다.

전기차배터리는 ESS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전기차배터리는 에너지 밀도, ESS는 수명에 중점을 둔다는 점과 니켈, 코발트 등 주요 원재료의 비율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간혹 생산라인을 혼용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두 제품은 유사하다.

삼성SDI의 경우 현재는 ESS 배터리와 전기차 배터리를 분류해 생산 중이지만 초기에는 전기차 배터리를 ESS에 활용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배터리 기술이 ESS보다 고도화된 기술"이라며 "안전성 면에서는 전기차 배터리가 오히려 ESS보다 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26일 제주도에 개소한 제주 전기차 배터리 산업화센터에서는 폐배터리의 ESS 활용을 위한 잔존가치 평가 등의 실증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삼성SDI의 전기차 배터리 [사진=삼성SDI]

폐배터리를 분해해 니켈, 코발트 등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재활용'도 이루어지고 있다. 배터리 원가의 50~60%를 원재료가 차지하는만큼 폐배터리 재활용이 활성화된다면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니켈의 연평균 가격은 톤당 1만 3122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가량 가격이 상승했다. 코발트의 경우 지난해 3월 이후 가격 하락세에 접어들어 지난 4월 톤당 3만 5000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역대 최저가였던 톤당 2만 1900달러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가격이다.

LG화학은 지난달 호주의 폐배터리 재활용업체 '인바이로스트림'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LG화학이 폐배터리를 수거해 인바이로스트림에 전달하면 인바이로스트림은 니켈, 리튬 등의 금속을 추출한다. 이는 다시 LG화학의 신규 배터리 생산에 활용된다.

삼성SDI도 "협력업체를 통해 폐배터리에서 추출된 니켈, 코발트 등의 희귀광물을 일부 공급받고 있다"며 "관련 사업모델이나 기술협력 등을 다방면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본격적인 폐배터리 시장 개장 전 업계 내 역할 분담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행법에 따르면 전기차 폐배터리는 지자체에 반납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후 활용에 대해서는 배터리 제조업체, 전기차 생산업체, 제3의 업체 등 역할이 정해진 바가 없어 정부나 지자체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국내 전기차 중 배터리 교체 시기를 맞이한 경우가 많지 않아 폐배터리 시장이 크지 않다"며 "배터리 제조업체, 전기차 생산업체, 폐배터리 수거업체 등 관련 업체간 역할 분담에 대해 생각해볼 시점"이라고 말했다.

 

dotori@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