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산업

ESS 화재 절반 'LG화학' 배터리...모두 中 공장 초기물량

기사등록 : 2019-10-06 22:5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2017년 2·3·4분기 中 남경공장서 제작한 배터리서 화재
2018년 이후 제품에는 화재 없어..."LG화학에 자발적 리콜 요구"

[서울=뉴스핌] 권민지 기자 = 26건의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화재 사고의 절반 이상(54%)을 차지한 LG화학의 배터리가 모두 동일한 시기, 동일한 공장에서 생산한 것으로 확인됐다. 설치환경, 배터리시스템의 문제가 아닌 LG화학 배터리 자체의 품질결함이라는데 무게가 실린다.

6일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산업부와 민관합동 사고조사위원회로부터 받은 ESS 화재사고 관련 자료에 따르면 총 14건의 ESS 화재사고에 사용된 LG화학 배터리는 모두 2017년 2분기부터 4분기까지 중국 남경공장에서 만들어진 초기물량이었다. 2018년 이후 LG화학에서 생산한 제품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 의원은 "2018년 이후 단 한 번의 화재도 일어나지 않은 이유에 대한 합리적 의심이 가능하다"며 "해당 시기에 생산된 LG화학의 배터리 제품에 문제가 있다고 말해도 무리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삼성SDI의 경우 총 9건의 ESS 화재사고가 발생했다. 2014년 3분기, 2015년 3분기, 2015년 4분기, 2016년 4분기, 2018년 2분기 등 배터리 제조시기가 다양했다.

이 때문에 특정 시기, 특정 공장에서 생산한 LG화학 배터리의 제품 품질 이상이 화재사고의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관해 민관합동조사위에서도 LG화학에 '자발적 리콜'을 권고했다는 게 확인됐다.

이 의원은 "조사과정에서 민관합동위 위원들 사이에 LG화학 배터리 문제가 있으니 정부 차원에서 리콜을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이는 채택되지도 조사위 활동결과 발표시 공개되지도 않았다"고 전했다.

LG화학 내부에서도 리콜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리콜을 시행할 경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판매 물량까지 리콜을 진행해야 한다. 1500억원의 추가비용과 신뢰도 추락을 감수해야 한다.

이에 관해 LG화학은 올 연말까지 자체 실험을 진행해 원인분석을 보다 정밀하게 진행하겠다는 입장만 밝힌 상태다.

이 의원은 "특정시기 생산된 관련 배터리가 전국에 198개소나 더 있다"며 "지금이라도 자발적인 리콜을 진행하는 것이 당장의 손해보다 미래의 신뢰와 세계 시장을 점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dotor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