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ESS 화재 계속...왜 한국에서만? 원인 몰라 답답

기사등록 : 2019-10-01 09:3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같은 배터리 셀 사용한 해외에선 無사고
전력변환장치·관리 소프트웨어 문제 가능성

[서울=뉴스핌] 권민지 기자 = 지난 6월 정부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원인조사 및 안전강화대책에도 ESS 화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후 발생한 화재가 3건에 달한다. 특히 같은 베터리 셀을 사용한 해외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국내에서만 ESS 화재가 잇따르자 배터리 셀이 아닌 환경이나 운영 시스템의 문제가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관계부처의 ESS 화재원인·대책 발표 이후 3건의 ESS 화재가 발생했다.

대책 마련 이후 첫 사고는 충남 예산에서 발생했다. LG화학의 배터리 셀이 사용된 태양광발전소에서 8월 30일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달 24일에는 강원 평창의 풍력발전소에서 불이 났다. 삼성SDI가 배터리 셀을 공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29일에는 경북 군위의 태양광발전소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배터리 셀 생산기업은 확인되지 않았다.

ESS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보관하는 시스템이다. 전력 생산과 보관이 제한적인 친환경 에너지를 보완하는 역할을 해 주목 받았다.

그러나 2017년부터 올해 6월까지 23건의 화재가 발생해 정부가 원인 규명 및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의 발표 이후 3개월간 3건의 화재가 추가로 발생했다.

 

지난 6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는 △전기적 보호장치, 비상정지 장치 설치 △배터리 만충 후 추가충전 금지 △온도·습도·먼지 등 운영환경 관리 등의 '공통안전조치'를 내놨다. 이는 지난해 12월부터 기존 사업장에 적용 중이다.

LG화학과 삼성SDI도 최근 화재가 발생한 시설에 모두 안전조치를 이행했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배터리 셀 자체가 아닌 전력변환장치(PCS), 관리 소프트웨어(BMS, PMS, EMS) 등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온다.

양사의 글로벌 ESS 시장 점유율은 70~80%로 추산된다. LG화학과 삼성SDI 모두 해외 ESS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수주했음에도 해외에서는 '큰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점도 이같은 주장에 힘을 싣는다.

국내 발전 환경 또한 해외 환경에 비해 열악하다고 보기 어렵다. 유럽, 미국 등 ESS 발전이 활발한 지역에 비해 국내 강수량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은 아니다.

업계 관계자는 "6월 대책이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며 "배터리의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운영환경이나 통합시스템 등 구체적으로 문제의 원인을 찾아야 해결이 가능하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한편,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이달 7일 진행되는 국정감사에 김준호 LG화학 부사장과 임영호 삼성SDI 부사장을 증인으로 불러 원인 규명에 나선다.

 

dotor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