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군의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 사살로 인한 미국과 이란의 대치 국면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이란은 미국에 '가혹한 보복'을 다짐했고, 미국은 공격이 있을 경우 주요 시설 52곳에 대해 반격에 나서겠다고 경고하는 등 양측의 언사가 전쟁 직전을 방불케 한다.
국제 전문가 다수는 '거셈 솔레이마니 쿠드스군 사령관 피살'로 비롯된 갈등 국면의 향배가 이란에 달려 있다고 지적하면서도 이란이 미국과 전면전을 치르지는 않을 것으로 바라봤다. 대신 중동 대리세력을 통한 보복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나아가 중동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분단이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친(親)이란 시아파 민병대와 지지세력이 이라크 바그다드 주재 미국 대사관 앞에서 이라크 국기를 들고 행진을 하고 있다. 2020.01.01. [사진=로이터 뉴스핌] |
◆ 미국과 전면전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5일(현지시간)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문가들을 인용, 이번 대치 국면의 방향키는 '일격'을 당한 이란이 쥐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란이 보복을 예고했음에도 미국과 전면전에는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군사력 자체가 미국과 비교가 되지 않는 데다 중동 내에서 의존할 세력이 레바논, 이라크, 시리아, 예멘 친(親)이란 시아파 민병대 등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또 역외 지지 세력은 사실상 중국과 러시아뿐인데, 이들 국가는 전쟁을 원치 않는다는 점에서 미국과 전쟁 가능성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설명이 제시된다. 러시아 싱크탱크 전략기술분석센터의 루슬란 푸호프 소장은 "러시아는 이 난투극에 휘말릴 생각이 추호도 없다"며 "이란에 대한 지지 표명을 큰 소리로 계속하겠지만 가능한 (물리적 충돌과는) 거리를 두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란의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가혹한 보복을 예고한 만큼 어떤 형태로든 이란이 행동에 나설 것임은 분명하나 직접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은 대내외적 상황을 봤을 때 희박하다는 얘기다.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공격보다는 ▲작년 5~6월 호르무즈 해협 등지에서 유조선들에 대한 기뢰 공격과 나포 ▲작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시설 공격처럼 주변의 친이란 세력을 활용해 미국에 타격을 입히는 전략을 택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 이란, 대리세력 통해 보복 나설 듯
워싱턴포스트(WP)와 CNN방송에 따르면 이란은 우선 이라크 내 시아파 민병대를 앞세운 공격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사태는 시아파 민병대 '카타이브 헤즈볼라' 기지에 대한 미국의 공격으로 시작됐고, 솔레이마니 제거 작전 때 이 단체 창설자도 사망했기 때문이다. 이라크 전쟁 당시 시아파 민병대는 미군 약 600명을 사망시킨 전력이 있다.
지난달 24일(현지시간) 한 유조선이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레바논의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하마스 등 중동에 있는 친이란 무장정파들을 활용하는 것도 선택지로 거론된다. 또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UAE) 친미 수니파 국가들의 석유시설에 대한 공격도 시나리오로 언급된다. 미국 등은 지난해 9월 사우디 석유시설에 대한 공격을 이란 소행이라고 주장했으나 뚜렷한 증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그만큼 이란과 대리 세력들의 공격이 정교하다는 얘기다.
하메네이의 군사 고문인 호세인 데흐건 이란 최고지도자 군사 수석보좌관은 이날 CNN과 인터뷰에서 "대응은 틀림없이 군사적일 것"이라면서도 "미국의 군사시설을 대상으로 할 것"이라고 밝혀 국지적인 형태로 반격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 국제사회 '중동 내 편가르기' 심화
이번 솔레이마니 피살 사태로 중동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분단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이란을 비롯해 중동 내 영향력 확대를 원하는 중국·러시아와 미국을 포함한 친미 수니파 국가·이스라엘 간의 편가르기가 더욱 심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의 '일방적인 군사행동'을 거론하며 압박에 나선 상황이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사진=로이터 뉴스핌] |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지난 3일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과 전화 통화를 마치고 "미국의 행동은 국제법의 규범에 위배된다"고 비판했다. 중국 왕이 외교부장도 4일 자리프 장관과 전화를 통해 "미국에 무력행사를 남용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유럽 국가들은 이란의 핵협정(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탈퇴선언으로 난처한 상황이 됐다. 이날 이란 정부는 성명을 통해 우라늄 농축 원심분리기 수 제한, 우라늄 농축 가능 수준, 핵 연구개발활동 등 JCPOA에 명시된 어떤 규정도 존중하지 않을 것이라며 사실상 핵협정에서 탈퇴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핵협정 당사국인 영국, 프랑스, 독일의 정상들은 공동성명을 내고 이란에 핵협정 조건들을 준수하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