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산업

'모빌리티 혁신' 이뤄가는 카카오...비결은 AI·빅데이터

기사등록 : 2020-01-08 16:2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빅데이터' 맞춤형 배차 제공...인공지능, 택시 수요·공급 불균형 해소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카카오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앞세워 모빌리티 혁신을 만들어내고 있다.

8일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카카오택시는 지난 연말 하루 최대 260만콜을 기록했다. 또 국민 절반에 해당되는 2453만명이 '카카오T'에 가입돼 있고, 월 이용자가 1000만명을 넘는다고 밝혔다. 월 이용자만 놓고 따지면 경쟁사 SK텔레콤 'T맵 택시' 10배 수준이다.

전국 27만대 택시 가운데 25만대가 카카오택시 호출을 받고 달리고 있다. 면허만 받아놓고 영업하지 않는 유휴 법인 택시 숫자를 고려하면, 사실상 국내 모든 택시가 '카카오T' 호출 대기중인 셈이다. '대한민국 모빌리티=카카오' 공식이 성립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법인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카카오T for 비즈니스' 가입 숫자는 2년새 9배나 늘었다. 계약 기업이 지난 2018년 2월 400사에서 현재 3700사로 급증했다.

◆ '빅데이터' 맞춤형 배차 제공...인공지능, 택시 수요·공급 불균형 해소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쟁력 원천은 1600만명이 이용하는 '카카오내비'다. 카카오내비는 T콜을 받는 전국 25만대 택시를 비롯해 대리 기사, 일반 이용자 이동경로를 안내하며 방대한 빅데이터를 확보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택시기사마다 차고지·주거지·운행패턴·선호지역·교통상황 등에 따라 콜을 수락하는 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며 "기사가 콜을 수락하는 거에 따라 '이 사람은 절대 이 지역은 넘지 않는다'는 데이터가 쌓인다. 이를 반영해 콜 수락 가능성이 높은 기사들을 선별해 콜카드를 보내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매일 밤 10시경 수원 삼성전자 공장에서 퇴근하는 승객을 태우는 패턴을 보이는 기사가 있다면, 반대 방향 목적지를 가는 승객 콜은 보내지 않는다"며 "아울러 수원 삼성전자까지 가는 길 중간 중간 콜을 연결해, 빈차 운행을 최소화하고 있다"고 곁들였다.

인공지능으로 택시 수요·공급 불균형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경쟁력이 배가됐다. 카카오 관계자는 "전국 27만대 택시가 있다고 하더라도 법인 택시는 2~3교대, 개인은 자율 운행을 하기 때문에 실질 운행 택시 숫자는 적다"면서 "콜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이 개인택시 퇴근 시각과 맞물리며 심각한 수요·공급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는데 카카오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배차 알고리즘을 통해 이를 최소화했다"고 말했다.

그는 인공지능 배차 알고리즘은 카카오 모빌리티의 핵심 경쟁력으로, 구글 출신 인공지능 전문가들을 대거 영입해 등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귀뜀했다. 이에 지난해 업데이트 수준을 넘어, 기존 알고리즘을 완전히 걷어내고 새로운 시스템이 구축될 정도로 빠른 고도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 '택시'를 넘어 국민 이동수단 관련 된 모든 걸 하겠다는 '목표'

'택시'에만 사업 영역을 국한하지 않고, '국민 이동에 편의를 주겠다'를 모토로 삼은 것도 주효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지하철역 간 거리가 단거리임에도, 택시 호출 많은 지역들이 있다"면서 "이 지역들은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이 비어 있고, 단거리 운행거부에 따른 택시 콜도 잡히지 않는다. 걸어가기에도 애매하다. 이곳에 '마이크로(Micro) 모빌리티' 개념을 적용해 전기자전거를 배치하고 있다. 비어있는 이동 거리를 촘촘히 채워가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아울러 전국 대리 서비스를 진행 중이고, 각 주차 빌딩과 계약을 맺어 주차장을 연결해주는 '코넥티드(Connected) 파킹(Parking)' 서비스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택시'라는 카테고리를 여럿으로 나눠, 이용자 이동 선택권을 늘리겠단 방향성도 다양화 된 고객층과 잘 부합했다. 

그는 "기업 의전용이나 수능 땐 고급택시인 블랙택시 수요가 많았다"면서 "송년 부서 회식 등으로 대규모 인원이 이동할 때나, 여러 명이 이동할 땐 택시를 나눠 타기보단 대형택시를 선호했다. 또 택시 잡기 어려운 지역에선 웃돈을 주더라도 배차가 잘되는 택시 서비스를 원했다. 자신의 목적에 맞는 택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고급·대형·스마트 등 택시 서비스를 다양화했다"고 밝혔다.

법 테두리 안에서 사업을 전개하겠다는 전략이 자율운송 시장 선점에 유리한 고지를 만들었다는 분석이다.

카카오 측은 "택시 수요·공급 불균형 심각한데 그 빈 공간을 채우겠단 생각으로 다양한 모빌리티가 우후죽순 출현했다"면서 "카카오는 놀고 있는 법인택시 감차분 만큼, 신종 모빌리티 전환해 이 빈 공간을 채울 계획이다. 즉, 국토부의 택시 총량제 안에서 모빌리티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승훈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카카오가 기존 택시업계와 상생을 통한 차량공유 사업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시장 선점을 통해 자율운송 시장 선점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카카오는 9개 택시회사를 인수해 890여개 택시 면허를 확보했다. 또 타고솔루션즈 등 가맹택시사업자 지분을 인수해 사업을 확장 중이다.

swiss2pac@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