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증권·금융

韓 부동산 숨고르기..."정책에 맞서지 마라"

기사등록 : 2020-01-24 08:4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국내 은행·보험·증권사 투자전문가 20명 설문조사
"서울 아파트 값은 1% 미만 등락"...정부 규제에 숨고르기

[서울=뉴스핌] 문형민 기자 = 올해 미국 증시의 상승세는 IT섹터가 주도할 것이란 의견이 대세를 이뤘다. 4차산업혁명이라 불릴 정도로 기술의 진보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반도체를 비롯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성장할 것이란 얘기다. 

월간 ANDA와 뉴스핌은 국내 은행·보험·증권사의 투자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지난 3~6일에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 응답자 중 18명이 올해 미국 증시를 이끌어갈 섹터로 IT를 꼽았다.

IT 업종에는 하드웨어, 반도체, 소프트웨어를 생산, 개발하는 업체들이 속해 있다. 대표적 기업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등이다. 세계 최대 컴퓨터 소프트웨어 회사인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해 약 60%의 주가 상승을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클라우드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게임 시장이 커지면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애플은 아이폰에 편중된 매출 구조를 바꾸고 있다. 지난해 무선 이어폰 '에어팟' 판매 호조와 서비스 부문 매출 증가 등으로 미국 기업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서기도 했다. 올해 5G폰 출시와 서비스, 웨어러블 매출 성장이 예상된다.

뒤를 이어 헬스케어(10명), 커뮤니케이션 서비스(6명) 등을 주목하는 전문가가 많았다. 헬스케어 업종엔 바이오테크놀로지, 제약 업체로 구성되며 존슨앤존슨, 암젠, 메드트로닉 등이 속해 있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업종은 소셜미디어, 통신, 미디어 업체로 구성된다. 페이스북,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 디즈니, AT&T 등이 대표선수다. 미국은 올해 5G통신이 본격화된다. 버라이존과 AT&T 등 통신사는 미국 주요 지역의 절반가량에 5G 서비스를 공급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 기술 발전도 이 업종을 주목하는 이유다. AI가 자율주행차부터 헬스케어 시장까지 지배력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구글의 AI 시스템이 유방암 진단에 방사선과 전문의에 비해 높은 성공률을 기록하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 부동산 투자, 정부 정책에 맞서지 마라 '일단 멈춤'

미국 증시는 장밋빛 전망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국내 부동산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일단 멈춤'이다. 과속 페달에서 발을 떼고 잠시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다. 설문문항에 응답한 17명 중 절반가량인 8명이 1% 미만의 등락을 전망했다. 여기에 5% 미만의 하락을 예상한 이도 3명이었다. 즉, 조정 또는 하락을 예상한 이가 17명 중 11명이다. 5% 이상의 상승을 전망한 응답자는 6명에 그쳤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은 8% 상승했다. 국민들이 체감하는 상승폭은 이보다 더 컸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KB국민은행 시세 자료를 바탕으로 서울의 34개 주요 아파트 단지를 분석한 결과 문재인 대통령 취임 당시인 2017년 5월 3.3㎡당 3415만원에서 2019년 11월 5051만원으로 뛰었다. 서울 아파트값은 2014년 8월 이후 53개월(4년 5개월) 연속 상승하다 2019년 상반기 6개월 연속 내렸다. 하지만 하반기가 되자 언제 그랬냐는 듯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그동안 정부는 집값 안정을 목표로 2017년 서울 전 지역 투기과열지구 지정을 비롯해 대출 규제 강화, 재개발조합원 분양권 전매 제한,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실시, 고가주택 세율 인상, 다주택자 추가 과세,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등 끊임없이 규제 정책을 내놨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서울 집값은 더 올랐다. 그 배경에는 풍부한 유동성 즉, 돈이 버티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도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대책을 가장 큰 변수로 꼽았다(응답자 17명 중 13명).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월 7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부동산 투기와의 전쟁에서 결코 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2월 16일에 문재인 정부 출범 후 18번째 부동산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12.16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의 골자는 ▲고가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강화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에서 시가 15억원 넘는 아파트 구매 시 주택담보대출 규제 등이다. 이에 따라 3주택 이상 보유자와 서울·세종 전역 및 경기 일부 등 조정대상지역 2주택 이상 보유자에 대한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세율이 최고 4.0%로 오른다. 또한 올해부터 시세변동률을 공시가격에 모두 반영하고, 특히 고가주택 등을 중심으로 현실화율을 먼저 높이기로 했다. 이 같은 대책에도 불구하고 상승세가 나타난다면 추가 대책을 내놓겠다는 얘기다. 두더지 게임처럼 머리가 올라올 때마다 때리겠다는 거다.

기준금리 변동과 4월 총선도 부동산 가격을 움직일 변수로 꼽혔다. 각각 7명, 6명이 이 항목을 지목했다. 시장에서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올해 한 번 정도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연 1.25%에서 1.00%로 내리는 셈이다. 그렇지만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가 부동산 가격을 부추기는 재료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국회의원 선거 과정에서 쏟아지는 각종 개발 공약도 마찬가지다.

◆ 한국 신흥국 주식 25%, 미국 선진국 주식 22%

올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하는 게 좋겠는가를 물었다. 19명의 응답을 평균한 결과 주식 47.3%, 채권 34.4%, 대체투자 10.9%, 현금 및 유동성 7.5%로 나왔다. 주식을 미국과 선진국, 한국과 신흥국으로 구분하면 각각 22.2%, 25.1%였다. 채권도 미국과 선진국, 한국과 신흥국으로 구분하면 각각 16.4%, 18.0%였다.

미국과 선진국 주식 비중을 30% 이상으로 채우라는 전문가는 6명에 달했다(오현석 삼성증권, 이창목 NH투자증권, 이경수 메리츠증권, 윤희도 한국투자증권, 김현우 현대해상, 이홍인 미래에셋생명). 반대로 한국과 신흥국 주식 비중을 30% 이상으로 추천한 전문가도 5명이었다(유승창 신동준 KB증권, 김학균 신영증권, 조용준 하나금융투자, 김민정 우리은행, 정원기 하나은행, 오영국 기업은행).

미국과 선진국 채권 비중을 30% 이상으로 추천한 전문가 3명(김학균 신영증권, 김현우 현대해상, 이홍인 미래에셋생명), 한국과 신흥국 채권 비중을 30% 이상으로 추천한 전문가는 2명이었다(유승창 신동준 KB증권, 김종란 국민은행).

한편 윤창용 신한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과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대체투자(주식과 채권 이외의 부동산, 원자재 등에 투자) 비중을 각각 30%, 25%로 추천했다. 또 오영국 기업은행 WM사업부 본부장과 김민정 우리은행 TC프리미엄청담센터장은 현금 및 유동성 비중을 20%로 권유했다.

hyung13@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