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日, '北미사일 무력화' 전파장비 도입 착수…5년내 목표

기사등록 : 2020-02-12 09:2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일본 정부가 전파 교란을 통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등을 무력화시키는 장비 도입에 착수했다고 11일 산케이신문이 보도했다. 

이 장치는 전파를 발사해 미사일과 지상 간의 전파 송·수신을 방해하는 장치로, 발사 직후 '상승단계'에서 미사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일본 자위대 장비로는 중간단계 이후부터 격추할 수 있다. 

일본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억제를 목표로 해당 장비를 5년 내 자위대에 도입할 방침이다.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추정되는 단거리탄도미사일이 강원도 원산일대에서 발사되고 있는 모습. [사진=노동신문]

일본 정부가 도입을 추진하는 장비는 탄도미사일의 '텔레메트리'(원격측정신호)를 노린 장비다.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게 되면 미사일의 항적과 기기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미사일에서 텔레메트리라는 전파가 발생한다. 

이때 강한 전파를 보내 혼선을 일으켜 송·수신을 차단하거나 잘못된 신호를 보낸다면 지상기지에서는 미사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최악의 사태엔 미사일이 궤도를 벗어나 중국에 떨어질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억제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지상기지와의 전파송신이 끊어지면 미사일이 자폭하도록 설계된 경우에도 전파 방해를 통해 탄도 미사일의 자폭을 유도할 수 있어 억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이 경우엔 북한이 미사일의 비행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발사능력 향상에 제동이 걸리는 결과로 이어진다.  

방위성은 해당 장비 도입을 위해 2020년도 예산안에서 '대공전자장치연구'에 38억엔을 계상했다. 우선은 육상배치형 전파방해장치로 멀리있는 적의 항공기 레이더를 무력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참고 장비를 취득할 방침이다. 

일본 방위성은 해당 참고 장비를 육상자위대에 설치해 멀리까지 강한 전파를 보낼 수 있도록 출력강화 등의 연구를 진행, 북한 탄도미사일도 전파로 방해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참고 장비는 육상자위대가 도입한 네트워크전자전 시스템이 유력하다. 해당 시스템은 지휘통제나 전파 수집·방해를 담당하며, 5종류의 차량 탑재형 장비로 구성돼 있다. 육상자위대는 오는 3월부터 본격적인 배치를 시작할 방침으로 전파의 출력 강화에는 전파를 쏘는 안테나와 내부기기를 개량하는 것이 과제가 될 전망이다.

kebj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