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백진규 최유리 기자 = 농협금융지주가 내달 6일부터 본격적인 차기 회장 선임 절차에 들어가는 가운데 김광수 회장 연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를 가늠할 '바로미터'인 임추위부터 김 회장에게 유리한 구성이라는 분석이다. 농협금융 내부에서도 연임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사상 최대 실적에도 안주 대신 변화를 외친 김 회장의 리더십에 신뢰를 보내고 있다는 평가다.
◆임추위원 면면 살펴보니, 김 회장 연임 '파란불'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금융은 내달 6일 차기 지주 회장 후보 추천을 위한 임추위를 본격 가동한다. 임추위 구성을 마무리한 만큼 이사회를 열어 향후 일정을 논의할 예정이다. 내규상 회장 임기 만료 40일 전에는 임추위를 개시해야 하는데, 김 회장의 임기는 오는 4월 28일까지다
11일 김광수 농협금융 회장이 서울 중구 농협금융 대회의실에서 '농협금융 글로벌 전략협의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농협금융지주] 2020.02.12 bjgchina@newspim.com |
농협금융은 지난 14일 정재영 비상임이사를 선임하면서 임추위 구성을 사실상 마쳤다. 임추위는 사외이사 4인, 사내이사 1인, 비상임이사로 구성되는데 공석이었던 비상임이사를 채웠다. 나머지는 박해식, 이기연, 이준행, 이진순 사외이사와 농협금융 부사장인 손병환 사내이사다.
임추위 가동을 앞두고 관심은 김 회장의 연임 여부다. 금융권에선 임추위 구성만 봐도 김 회장 연임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박해식·이기연·이준행 사외이사는 김 회장 선임에 찬성했던 인물이다. 오는 3월 말 임기 만료를 앞뒀지만 연임으로 가닥이 잡혔다. 지난해 이대훈 농협은행장 연임 때도 실적개선을 근거로 찬성 의견을 냈던 만큼, 최대 실적 행진을 이어간 김 회장에도 힘을 실을 전망이다.
김 회장 취임 이후 선임된 이진순 사외이사도 산업은행부터 시작해 한국개발연구원장 등을 역임한 금융 전문가여서 김 회장의 성과를 높이 평가할 가능성이 크다.
이사회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지난해 성과 좋아서 안정적인 체제를 유지되기를 바라는 기대치가 있다"고 전했다.
사내이사인 손 부사장은 작년 말 사업전략부문장(상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지주 주요 임원 중 유일하게 김 회장과 2년 연속 손발을 맞춰왔기 때문에 김 회장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
관건은 비상임이사를 통해 표출되는 농협중앙회의 의중이다. 중앙회는 농협금융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어 최고경영자(CEO) 인사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정재영 비상임이사는 이성희 중앙회장과 같은 경기 출신에 낙생농협 조합장 이력을 가졌다. 금융사업 규모가 큰 경기권 조합을 이끌면서 금융에 대한 이해가 높다는 평가다. 이 회장 역시 2012년 신경분리 당시 감사를 맡았고, 누구보다도 농협금융의 독자성을 잘 이해한다는 게 중론이다. 최근 농협금융에서 최대 실적을 낸 만큼 이를 중앙회 전체 이익 차원에서 반영하겠다고 언급한 만큼 김 회장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사진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박해식·이기연·이준행·이진순 농협금융지주 사외이사, 손병환 부사장(사내이사), 정재영 비상임이사. [사진=농협금융지주] 2020.02.21 bjgchina@newspim.com |
◆"실적잔치보다 체질개선이 먼저"…김광수 리더십에 신뢰
농협금융 내부에서도 김 회장의 연임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금융산업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지면서 최대 실적이라는 성과에 안주하기 보다는 체질개선을 위해 갈길이 멀기 때문이다.
지난해 농협금융은 당기순이익 1조7796억원으로 금융지주 설립 이래 최대 실적을 냈다. 하지만 김 회장은 성과에 대한 자축보다는 중장기 성장 전략 마련을 주문하면서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있다. 올해를 새로운 10년 비전 설정의 원년으로 삼고 변화를 강조한 이유다.
농협금융 고위 관계자는 "초저금리가 고착화되는 환경에선 또 다시 빅배스(대규모 부실채권 상각)가 필요할 수 있다는 인식으로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며 "이에 대비해서 앞으로의 10년을 준비하자는 비전을 내놓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농협금융은 각 계열사 별로 분주하게 돌아가고 있다. 김 회장의 능력이 실적으로 검증된 데다, 비전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농협금융의 '아픈 손가락'이었던 농협생명보험과 농협손해보험은 사업개편 실행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지난해 김 회장이 생보·손보 공동으로 보험경영혁신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진두지휘한 것에서 나아가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주문했다. 올해는 생보와 손보사가 각각 TF를 만들어 이를 진행하기로 했다.
네트워크 확장에 치중했던 글로벌에서도 새로운 사업 모델 발굴을 지시했다. 2025년까지 자산 6조원, 연간 당기순이익 1600억원, 해외 네트워크 13개국 28개 달성을 목표로 잡고 올 상반기까지 구체화된 사업을 발굴하라는 미션이다.
디지털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빅데이터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인공지능 등 신기술을 활용한 신사업을 찾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은행에 있던 디지털뱅킹센터를 가져와 지주 디지털전략부 산하 디지털혁신국으로 바꿨다. 전 계열사의 디지털화를 지휘하는 콘트롤타워 역할이다.
농협금융 고위 관계자는 "연초부터 글로벌뿐 아니라 각 분야별로 새로운 10년을 준비하라는 주문이 있었다"며 "항상 장기 전략과 중기 로드맵을 놓고 그 안에서 구체화된 사업을 추진하는 게 CEO의 스타일"이라고 전했다.
중장기 전략을 연속성 있게 추진하려면 김 회장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내부 관계자는 "은행 산업이 정점을 지났다는 위기의식에 공감하고 있다"며 "비은행, 글로벌 사업 비중 확대 등이 가야할 방향이라 본다"고 했다.
bjgchi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