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금투협 "2030 주식투자비중 50%넘어..다양한 정보·교육 활용해야"

기사등록 : 2020-05-05 20:5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활동계좌수, 4월말 기준 3125만개

[서울=뉴스핌] 장봄이 기자= 최근 코로나19 확산세 등에 따라 국내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증가되는 가운데, 2030 사회 초년생을 중심으로 투자경험과 관련 정보가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 시장 분위기에 편승해 주식시장에 대거 진입하는 현상이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주식활동계좌수는 전년 동기 대비 약 5%p 증가했다. 이 중 20~30대 투자 비중이 50%를 넘는 등 2030세대가 국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계좌수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3125만개로 집계됐다.

[로고=금융투자협회]

투자 형태는 낙폭 과대시장을 활용한 우량주와 대형주 위주의 저가매수로 파악돼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다. 그러나 2030세대가 본인의 투자여력을 초과한 신용융자거래 및 레버리지 구조화상품(원유선물 연계 ETN, 레버리지ETF·ETN) 등 참여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과거 금융위기 이후 우량주의 주가반등 사례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 등으로 일부 종목에 투자가 몰리는 '투자 쏠림현상'은 자칫 코로나19 사태 재확산 등 경기침체가 장기화 될 경우 큰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게 업계 시선이다.

금융투자협회 등 증권유관기관에서는 다양한 교육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부족한 투자 경험을 보충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제공하는 온라인 금융교육센터를 통해서도 수준별 교육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증권유관기관이 제공하는 다양한 투자정보를 이용하면 투자상품이나 거래할 금융회사를 고르는데 큰 도움이 된다.

금융투자협회의 금융상품 비교공시(수익률, 수수료 등), 회사비교공시(금융회사 재무정보, 민원발생현황, 부적합투자자 판매실적 등)와 금융감독원의 '금융상품한눈에' 등이 대표적이다.

오세정 금융투자협회 자율규제본부장은 "'백미러로는 미래를 볼 수 없다'는 유명 펀드매니저 피터 린치의 말을 인용하면서, 2030세대가 보장되지 않는 과거 투자 성공사례를 쫓기보다는 다양한 교육컨텐츠와 관련 정보를 활용해 스스로 투자방향을 정할 수 있는 스마트한 투자자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bom224@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