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MS·아마존·인텔이 교육하는 '창업사관학교'…30개팀 모집

기사등록 : 2020-06-01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교육·보육·네트워킹·사업화 지원까지 전방위로 지원
캐글형 교육으로 실전치↑·해외국내 네트워킹 기회도多

[서울=뉴스핌] 이서영 기자 =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의 성공적인 글로벌화를 지원하는 '글로벌 창업사관학교'가 열린다.

글로벌 창업사관학교를 위해 MS, AMAZON, INTEL, NVIDIA 등 글로벌 기업과 Plug&Play, SOSV 같은 탑티어 액셀러레이터가 AI 스타트 트업 교육에 나설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창업진흥원은 '글로벌 창업 사관학교'에 참여할 예비 창업팀을 2일부터 25일까지 모집한다고 1일 밝혔다.

글로벌 창업사관학교에서 눈여겨볼 점은 캐글(Kaggle)형 프로젝트 방식 AI 교육을 통해 AI를 응용하고 활용하는 실전 사업화 역량을 강화한다는 점이다.

캐글은 세계 AI개발자들의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이자 AI경진대회가 열리는 플랫폼이다. 기업이나 단체에서 해결과제와 데이터를 캐글에 등록하면, 참가자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경쟁한다.

이와 함께 창업사관학교는 글로벌 기업의 기술 노하우 전수와, 기술 교육, 글로벌 수준의 액셀러레이팅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입교팀은 AI 기술을 활용해 창업하거나 기존 사업 아이템에 AI를 접목해 개선할 수 있도록 양성할 계획이다.

[서울=뉴스핌] 이서영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글로벌 창업사관학교에 입교할 창업팀 30개를 모집한다. 자세한 사항은 2일, 중기부 K-startup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캡쳐] 2020.06.01 jellyfish@newspim.com

◆교육·보육·네트워킹·사업화 지원 등 전방위로 지원

글로벌 창업사관학교의 지원 프로그램은 크게 교육, 보육, 네트워킹, 사업화 지원 단계로 세분화된다.

먼저 교육은 실전에서 활용 가능한 AI 술·사업화 역량에 초점을 맞춰 진행된다. 여기에 세계 AI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4개사와 카이스트 같은 국내대학이 교육 기관으로 참여한다.

특히 글로벌 기업 중 NVDIA는 딥러닝, MS는 빅데이터, AMAZON은 지율주행, INTEL은 드론 및 소셜데이터 분야에 특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 같은 교육을 통해, 세계 각국의 다양한 기업이 제시하는 AI 프로젝트를 수행해보는 차원에서 캐글을 활용한 프로젝트 교육도 병행된다.

보육 분야에서는 창업팀의 글로벌 시야를 넓히고 글로벌 시장으로 조기 진출 할 수 있는 감각과 역량을 키우는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글로벌 탑티어 액셀러레이터에서 보육전문가 2명씩을 배정하고 입교팀을 밀착 보육한다.

창업팀은 멘토링과 함께 현지 네트워킹에 나선다. 한 장소에서 여러 글로벌 액셀러레이터를 경험하고 글로벌 역량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다음으로 네트워킹과 관련해서는, 국제기구 등이 보유한 글로벌 네트워킹 플랫폼과 연계해 창업팀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키워갈 계획이다. 창업팀은 각자의 타깃 시장에 적합한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

또 국내 대기업과 공공기관과의 교류 프로그램도 운영해 내수 사업화 기회도 확대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창업팀에는 최대 5000만원의 사업화 자금이 지원된다. 또 사업장이 없는 창업팀을 위해 '글로벌 창업사관학교' 내에 사업장을 마련해 지원한다.

중기부는 이런 교육 프로그램의 취지에 맞게 기본 AI 역량은 갖췄지만 사업화에 어려움이 있거나 기존 사업 아이템에 AI를 접목하고자 하는 창업팀을 우선 선정한다.

한편 올해 신규운영하는 '글로벌 창업사관학교'는 총 8개월 과정으로 운영된다. 장소는 강남의 스파크플러스에서 개소해 3개월 내외로 전반기동안 운영된다. 이후 구로 G스퀘어로 이전해 운영하면서 인근에 집적해 있는 1만여개 중소·벤처기업과 교류 등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창업팀은 25일 16시까지 K-Startup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의 사업 공고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jellyfis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