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해철 기자 = "전용 142㎡ 호가가 주말새 1억원 가량 뛴 23억이에요. 10억원대 거래되던 전용 47㎡도 호가가 11억원을 넘었어요." (목동6단지 인근 공인중개업소 대표)
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6단지가 실거래가 대비 호가가 1억원 오르는 등 집값 강세를 보이고 있다. 재건축 첫 관문인 안전진단을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들은 주말 새 매수 문의가 늘어난 반면, 매물은 모습을 감췄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뉴스핌] 노해철 기자 = 15일 찾은 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6단지 인근 공인중개업소에 따르면 6단지는 안전진단 최종 통과 후 매물이 사라지고, 호가가 오르고 있다. [사진=노해철 기자] 2020.06.15 sun90@newspim.com |
◆ 안전진단 통과에 매물 감춰...호가 1억원 ↑
15일 오전 찾은 목동6단지 입구에는 재건축 정밀안전진단 최종 통과 소식을 알리는 현수막이 게시됐다. 총 14개 단지인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중에서 안전진단 통과로 재건축 추진을 확정지은 단지는 이번이 처음이다.
당초 매물을 내놨던 집주인들은 이번 결과에 따라 '매도 보류'로 돌아섰다. 이들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 기조로 안전진단 통과가 당분간 어려울 것이란 우려에 매물을 내놨다가, 정반대의 결과가 나오자 급히 매물을 거둬들였다.
목동6단지 인근 K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집주인이 당초 전용 142㎡ 매물을 23억원에 내놨다가, 주말 사이에 매도를 보류하기로 결정했다"며 "매도 호가나 재건축 일정 대한 문의가 쏟아지고 있지만, 매물 자체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6단지 전용 142㎡는 지난해 11월 22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실거래가보다 약 1억원 높은 호가를 부르던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두면서 집값은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매수 문의가 많은 전용 47㎡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 면적은 아직 실거래 신고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이달 초쯤 10억8000만원에 거래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달 10억3000만원보다 5000만원 높은 수준이다. 안전진단 통과 후 호가는 11억5000만원으로 올랐다.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전용 47㎡는 15억원을 넘지 않아 대출 규제가 덜하기 때문에 찾는 사람들이 더 많다"며 "매물이 귀한 탓에 신고가보다 높은 호가에도 매수세가 계속 붙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노해철 기자 = 목동6단지 정밀안전진단 최종 통과 소식을 알리는 현수막. [사진=노해철 기자] 2020.06.15 sun90@newspim.com |
◆ 목동 신시가지 일대 재건축 기대감 ↑
6단지 안전진단 통과로 나머지 13개 단지들도 재건축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목동신시가지 단지들은 준공 연한과 노후도 측면에서 6단지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안전진단 통과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9단지와 5단지는 1차 정밀안전진단 조건부 통과 후 적정성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1·11·13·14단지는 정밀안전진단 용역을 진행 중이고 4·7단지는 정밀안전진단 용역 절차에 나섰다.
실제 6단지와 마주한 곳에 위치한 5단지 호가는 15억원 선으로 형성돼 있다. 이는 지난 달 거래된 13억5000만원보다 약 1억5000만원 높다. 인근 공인중개업소에 따르면 최근 한 집주인은 이 면적을 14억8000만원에 내놨다가 거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안전진단을 통과하더라도 재건축 사업이 속도를 내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정비구역 지정과 조합 설립, 사업시행인가, 관리처분인가 등 각종 인허가 등 여러 절차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인근 H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목동 지구단위계획이 연기되고 있어 안전진단을 통과하더라도 당장 사업을 추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집값을 원상 복구하겠다는 정부 기조나 여당의 총선 압승 등을 고려하면 향후 재건축 인허가가 쉽게 나지 않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등 규제도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안전진단 통과 후 준공까지 적게 잡아도 10년은 넘게 걸릴 것"이라며 "규제에 따른 사업성 저하를 이유로 내부 갈등이 발생한다면 시간은 더 지체될 수 있다"고 말했다.
sun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