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다영 기자 = 렘데시비르와 아비간 그리고 덱사메타손. 모두 코로나19 치료제로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에 전 세계적 주목을 받은 약제다. 그런데 렘데시비르는 긴급사용승인 대상이 됐지만, 아비간과 덱사메타손은 그러지 못 했다. 무엇이 다를까.
18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덱사메타손이 국내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쓰일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당국은 부작용을 고려해 덱사메타손을 보조 치료제로 한정짓고 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덱사메타손에 대해 "의학 전문가들이 염증반응을 줄일 수 있지만 면역을 같이 떨어뜨려 다른 부작용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줬다"며 "보조적인 치료제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덱사메타손.[사진=로이터 뉴스핌] 2020.06.17 |
지난 17일 주요 외신에서는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 코로나19 중증 입원환자에 덱사메타손을 투약하자 사망률이 최대 40%까지 낮아졌다는 보도가 쏟아졌다.
덱사메타손은 염증 치료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제다.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가 만료돼 신일제약, 대원제약, 영진약품 등 국내 10개 제약사가 제네릭(복제약) 품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가격은 약 7600원 수준이다.
다만 국내 방역당국은 덱사메타손을 보조치료제 역할에 그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데, 이는 부작용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덱사메타손은 염증반응을 줄일 수 있지만, 스테로이드 계열 치료제 특성상 염증을 억제하기 위해 전신의 면역 기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대항할 힘을 잃을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
앞서 일본 아베 정부가 주목했던 신종플루 치료제 '아비간'도 부작용이 보고되면서 치료제 도입이 물건너간 바 있다.
지난 2월 일본은 코로나19 환자에 아비간을 투약한 결과 경증 환자의 증상 악화를 막는 효과를 보면서 이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일본 후지필름도야마화학이 개발한 신종플루 치료제 '아비간'을 코로나19 치료제로 국내 도입을 검토했지만, 최종적으로 도입하지 않는 쪽으로 결정했다.
국내 방역당국이 아비간을 도입하지 않은 이유 역시 부작용으로 분석된다. 아비간은 임신부가 투약할 경우 기형 등 태아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글로벌 제약사 길리어드사이언스의 에볼라 치료제 '렘데시비르'는 간 기능 이상, 구토, 호흡부전 등 부작용이 있다는 논란이 있었음에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긴급사용승인을 받았다. 이후 렘데시비르는 코로나19 치료제로 지난달 29일 국내에도 긴급 도입됐다. 환자의 입원기간을 단축해 부작용을 잠재울만큼 약효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전 세계 10개국, 73개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임상시험 결과 렘데시비르는 환자 회복기간을 15일에서 11일로 약 31% 단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 후 병상을 비롯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임상 결과를 높이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위중한 환자에서는 아직 확실한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NIH 임상시험에서 렘데시비르는 환자가 산소호흡기를 장착할 정도로 위중해지기 전 사용돼야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됐다.
렘데시비르는 다국적 제약사 길리어드사이언스가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해온 항바이러스제다. 임상시험에 실패해 에볼라 치료제로는 공식 승인을 받지 못했다.
allzer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