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북한이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사 카드를 거절한 것은 빈손으로 끝난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의 '공동책임자'를 다시 보내려 하는 데 거부감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정철 숭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18일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정산홀에서 열린 '통일전략포럼' 세미나에서 "북한이 보기에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하노이 노딜의 공동책임자"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또한 "북한 입장에서는 굉장히 불쾌했을 수도 있다"며 "김여정 제1부부장 급(級)에 맞는 특사를 보냈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8년 9월 5일 대북특사단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왼쪽)과 서훈 국정원장(가운데)이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평양으로 향하는 특별기에 탑승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사진=뉴스핌 DB] |
이 교수는 '급'에 대해 "직책을 말한 게 아니다"라며 "공동책임자 중 북측은 다 한 번씩 징계를 받았는데 우리는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또 (정의용·서훈) 그분들이 문제 해결을 하겠다고 오는 게 맞느냐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김여정 제1부부장은 하노이 결렬 이후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해임됐다가 지난 4월 노동당 정치국회의를 계기로 복귀했다.
또한 '대남 강경파' 김영철도 김 제1부부장과 같은 기간에 통일전선부장 직에서 물러났고 최근 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으로 본격적으로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는 모양새다.
한편 북한은 17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한국 정부가 대북특사 가동을 시도했지만 김 제1부부장이 이를 거절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문 대통령이 대북특사를 제의한 것이 "초강력 대적 보복공세에 당황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을 펼치며 폄하했다.
또한 통신에 따르면 김 제1부부장은 "뻔한 술수가 엿보이는 이 불순한 제의를 철저히 불허한다"고 했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