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증권·금융

[박미리의 야금야금(金)] 때아닌 은행 디도스 해프닝…"금융사 보다 일반기업 주의"

기사등록 : 2020-10-09 08: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예고한 7일 '공격' 없었던 걸로
목적 '과시'→'돈'으로 변화
금융사 24시간 365일 관제체제…"금전 피해 없어"

[편집자] '야금(冶金)'은 돌에서 금속을 추출하는 기술입니다. 국민생활과 밀접한 금융에선 하루가 멀다하고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지만, 첫단부터 끝단까지 주목받는 건 몸집이 큰 사안뿐입니다. 야금 기술자가 돌에서 금과 은을 추출하듯 뉴스의 홍수에 휩쓸려 잊혀질 수 있는 의미있는 사건·사고를 되짚어보는 [한국금융의 뒷얘기 야금야금] 코너를 종합뉴스통신 뉴스핌이 선보였습니다. 왜 그런 일이 생겼는지, 이후 개선된 건 있는지 등 한국금융의 다사다난한 뒷얘기를 격주 금요일 만나보세요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20비트코인(약 2억4000만원)을 내놓지 않으면 7일 디도스(DDos) 공격을 하겠다." 

최근 스스로를 러시아계 해커집단 '팬시베어'라고 밝힌 이들이 국내 일부 은행들에 이 같은 이메일을 보냈다. 디도스 공격이란 여러 대의 컴퓨터가 특정 전산시스템으로 유해 트래픽을 대량으로 전송해 마비를 일으키는 것이다. 금융사들이 디도스 공격을 받으면 인터넷 뱅킹, 스마트 뱅킹 등 대국민 서비스가 마비될 수 있다. 이에 협박장을 받은 은행들도 대응을 위한 준비태세를 갖췄으나, 다행히 소동은 해프닝에 그쳤다. 

◆ 5년간 23건…'2년 주기+홀수 해'

사실 이러한 디도스 공격 시도는 하루이틀 있었던 일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세종시갑)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지난 5년간 국내 금융권이 받은 디도스 공격은 23건에 달했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 2건, 2017년 16건, 2018년 1건, 2019년 0건, 2020년 4건이다. 특히 올해는 추석 연휴인 지난 2일 우리은행, 하나은행에 디도스 공격이 벌어지기도 했다.

"과거 추이를 보면 디도스 공격은 2년 주기로 홀수 해에 발생했어요. 이러한 추이대로면 작년 디도스 공격이 일어났어야 했는데 그러지 않았죠. 그래서 올해 디도스 공격이 빈번히 일어나는 것 같아요."(금융보안원 관계자)

디도스 공격은 해커집단의 의중에 따라 발생하기에 누가, 언제, 누구로부터, 어떤 목적으로 공격을 받을지 추정할 수 없다. 올해 갑자기 디도스 공격이 활발해진 것과 관련해서도 누가, 왜 공격에 나선 것인지 구체적인 이유를 특정하긴 어렵다. 현재로선 코로나19로 기업의 원격근무가 늘어나자 해커집단이 보안 수준이 낮아진 상황을 노린 것 아니겠느냐는 추정을 할 뿐이다.

다만 최근에는 공격의 목적이 보다 직관적으로 드러난다. "과거에는 과시가 목적인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돈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어요. 이것을 '랜섬(ransom·인질의 몸값) 디도스'라고 부릅니다."(금융보안원 관계자) 2017년 해킹집단 '아르마다 콜렉티브(Armada collective)'가 국내 금융사를 대상으로 시도한 16건, 올해 발생한 잇단 디도스 공격들도 요구사항은 돈이었다.    

◆ "금융은 괜찮은데, 일반기업이…."

그럼에도 디도스 공격에 대한 금융권 대응력은 꽤 괜찮은 편이라는 평가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올해 디도스 공격을 받은 금융사만 해도 일시적인 접속 지연 외에 금전적인 피해를 입지 않았다. 

2009년 금융당국에서 디도스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한 후 보안 강화에 신경써온 결과다. 이에 따르면 인터넷 기반 전자금융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금융회사는 디도스 공격대응 시스템을 도입하고, 24시간 365일 침해대응 관제체제를 구축하며, 대응 매뉴얼을 작성하고, 연 1회 이상 모의훈련을 실시해 디도스 공격 대응능력을 갖춰야 한다. 

금융회사들도 자구 노력을 더했다. 은행 한 관계자는 "24시간 365일 상시 모니터링을 하는 관제센터 외에도 디도스나 해킹 공격, 전시와 같은 비상상황을 대비해 주요 데이터를 백업하는 서비스를 마련하는 등 1, 2차에 걸쳐 보안대책을 마련해놨다"며 "금융회사이다보니 보안 수준이 엄격하고 철저할 수밖에 없다"고 자신했다. 

과도한 트래픽을 넘기면 정상 트래픽만 돌려받는 금융보안원, 통신사 등의 서비스를 이용해 대응력을 강화하기도 했다. 이렇게 되면 금융사 서비스는 디도스 공격에도 정상 운영될 수 있다. 특히 금보원은 4차 산업혁명에 맞물려 대용량 디도스 공격이 늘어나는 상황을 감안해 올해 대응할 수 있는 디도스 공격량을 1.3Tbps에서 5Tbps로 확대하기도 했다.(서비스는 따로 가입해야 함)

문제는 금융권 밖이라는 전언이다. 금융보안원 관계자는 "최근 발생한 디도스 공격에서 금융회사가 마비돼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은 경우가 없었다. 즉 각 금융회사들이 디도스 공격에 대해 대비책 마련을 잘했다는 이야기"라며 "하지만 금융권 밖의 일반 기업들에선 디도스 공격이 발생하면 특정 시간동안 서비스 접속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milpark@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