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차기 은행연합회장 '민병두 ·최종구', 양강구도 구축

기사등록 : 2020-10-12 14: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오는 26일 이사회 논의, 최종 후보자 총회 투표
민병두, 금융 이해도 높지만 은행 근무 없어
최종구, 금융위원장 사임 1년만에 복귀 약점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내달 말 임기가 만료되는 김태영 은행연합회장의 후임자가 민병두 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으로 압축되는 분위기다. 금융 이해도가 높은 거물급 인사들이다. 은행권에서도 코로나19 확산, 빅테크와의 경쟁 등으로 어려움이 큰 만큼 정부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힘 있는 회장'을 원하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26일 은행연합회 이사회에서 차기회장 선임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본격화된다. 은행연 이사회는 시중은행, 특수은행, 지방은행 등 10개 회원사 은행장으로 구성돼있다. 이들은 11월 중 수차례 간담회를 개최해 차기회장 후보군을 좁힌 후 최종 후보자를 뽑아 22개 정회원사가 참여하는 총회에 올릴 예정이다. 이후 총회 투표를 거쳐 차기회장이 확정되는 수순이다.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2020.10.12 milpark@newspim.com

이번 차기회장으로는 민간 출신보다 권력기관 출신에 힘이 실릴 것으로 관측된다. 역대 12명의 회장 중 4명(이상철·신동혁·하영구·김태영)만 민간 출신이었을 정도로, 은행연합회장은 그 동안에도 관 출신 많았다. 은행들도 최근 빅테크의 금융권 진입, 코로나19 장기화 등으로 경영 환경이 급변하면서 대관업무가 중요해지자 관 출신을 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 금융권에서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물은 민병두 전 의원이다. 민 전 의원은 오랜 정무위원회 활동으로 정치권에서도 금융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물로 평가돼왔다. 19대 국회에서 정무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고, 20대 국회에서는 정무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특히 3선 의원 출신인 만큼 정치권과 은행권 사이 원활한 조율을 이뤄낼 수 있다는 강점도 있다.

다만 은행에 근무한 경험이 없다는 점이 그의 약점이다. 역대 은행연합회장 중 은행권 경험이 없는 인사는 없다. 모두 회장이 되기 전 시중은행이나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한국은행 등에서 근무했다.

민 전 의원의 뒤를 바짝 좇는 이는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이다. 최 전 위원장은 행정고시 제25회 출신으로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한국수출입은행장, 금융위원장 등을 두루 지냈다. 그만큼 금융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은행권을 대변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힘도 약하지 않다. 은행장을 지낸 인물을 회장으로 뽑았던 최근 관례에도 부합한다.

그러나 그는 금융위원장 이력이 되레 약점으로 꼽힌다. 전 금융업권을 관리하던 인사가 1년만에 특정 업권만을 대변하는 자리로 이동하는 것이 적절하느냐는 지적에서다. 

milpark@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