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부동산

도공, 이럴꺼면 '현장지원직' 직고용 왜 했나…갈등 예상하고도 수수방관

기사등록 : 2020-10-14 17:3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정규직 자회사는 수납 업무 대체 기간제 노동자 748명 뽑아
60명 징계…박영순 의원 "징계 노동자에 대한 구제 대책 마련" 촉구

[서울=뉴스핌] 노해철 기자 = 한국도로공사가 최근 직고용한 '현장지원직' 근로자들과 갈등을 미리 예상하면서도 수수방관하다 갈등만 키웠다는 지적이 나왔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영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도공으로부터 제출받은 '현장지원직 갈등 현황'에 따르면 도공은 최근 자회사로 이관된 요금 수납업무를 요구하며 졸음쉼터 화장실 청소 업무를 거부한 직원 60명에 대해 징계 조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공은 지난 5월 졸음쉼터 화장실 청소를 거부한 현장지원직 인력에 대한 인사위원회를 열고 감봉(43명)과 견책(17명)등에 대한 징계를 내렸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김진숙 한국도로공사 사장이 지난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의 한국도로공사·한국교통안전공단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2020.10.14 leehs@newspim.com

도공은 이에 앞선 지난 4월 현장지원직 갈등 관리와 조기 안정화를 위한 '2020년 현장지원직 운영 및 관리방안'(미래전략처) 보고서를 통해 업무지시 불이행 직원 관리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도공은 계획과 달리 지시 불이행 직원에 대해 징계를 처분했다. 노사 갈등이 발생할 것을 미리 알고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오히려 갈등만 확신시켰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톨게이트 요금 수납 업무를 위해 출범한 자회사 한국도로공사서비스는 인력 부족을 이유로 '기간제 대체인력' 748명을 다시 뽑았다.

정규직 전환으로 출범한지 1년밖에 안된 회사가 인력 부족을 이유로 기간제 대체인력을 뽑았다는 점은 도공과 자회사 스스로 인력 운영 설계를 잘못했다는 점을 자인한 것이라는 게 박 의원의 주장이다.

박 의원은 "도공은 요금 수납 업무 요구 등 갈등 발생을 알면서도 수수방관하다 해당 직원들을 징계했고, 자회사는 수납 업무 인력을 부족으로 기간제 대체인력을 뽑은 것은 이율배반적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도공과 자회사의 정책 실정에 따른 피해가 노동자들에게는 전가돼서는 안된다"며 "노사 상생을 강조하는 정부 정책의 기조에 맞게 공사는 징계된 노동자에 대한 구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sun90@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