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정치

WHO "북한 결핵 상황, 전 세계 최악 30개국 중 하나"

기사등록 : 2020-10-15 08:4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北, 결핵 고위험국 중 영양실조 비율 세 번째로 높아"
"코로나19로 결핵 관련 예산 부족 현상까지"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세계보건기구(WHO)가 북한을 전 세계에서 결핵 문제가 가장 심각한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

1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WHO는 이날 공개한 '2020년도 결핵 연례보고서'에서 "북한은 2019년 전 세계 결핵 문제가 가장 심각한 30개국 중 하나"라고 밝혔다.

WHO 로고 [사진= 로이터 뉴스핌]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도 북한 내 결핵환자는 약 13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도 기준 약 13만1000명에서 1000명 증가한 것이다. 또 약으로 치료가 잘 되지 않는 다제내성 결핵환자는 5200명으로 1년 전인 2018년과 동일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지난해 기준 북한 인구 10만 명당 결핵 유병률은 513명으로 전 세계적으로 레소토(654명), 남아프리카공화국(615명), 필리핀(554명), 중앙아프리카공화국(540명) 다음으로 높았다.

특히 북한에서는 결핵환자의 5대 사망 요인 중 영양실조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30개 결핵 고위험국 중 주민들의 영양실조 비율이 세 번째로 높았다. 아프리카 국가인 중앙아프리카와 짐바브웨의 60%와 51%에 뒤이은 48%에 달했다.

뿐만 아니라 북한은 결핵 고위험국 중 결핵 예산 부족 규모도 가장 심각한 30개국 가운데 한 국가로 꼽혔다.

북한 당국은 올해 결핵 퇴치 예산으로 4900만 달러를 책정했는데, 이 중 국제사회의 지원이 1900만 달러, 북한 자체 조달이 600만 달러로 현재 2400만 달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테레자 카사에바 WHO 글로벌 결핵프로그램 국장은 "결핵 위험이 큰 국가에서 결핵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필요한 의료자원을 코로나19대응에 사용하고 있어 결핵 퇴치 사업이 영향을 받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가 필수적인 결핵 의료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들을 북한을 포함한 결핵 고위험국 등에서 취했다"고 전했다.

suyoung0710@newspim.com

22대 국회의원 인물DB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