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충북

"위기가 기회됐다"…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 1년간 2만3000여건 기술지원

기사등록 : 2021-05-06 11: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5634개 기업에 장비활용, 기술자문 등 지원
소부장 R&D 사업 6000억원 경제효과 '톡톡'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위기는 곧 기회로 이어졌다. 2019년 7월 일본이 불화수소 등 3대 품목에 대한 수출 규제를 발표하면서 당장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에 비상등이 켜졌다.

하지만, 한 달 뒤 정부는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을 마련하고 추가경정예산까지 지원하면서 '소부장 독립'을 선언했다. 1년여가 지난 현재 오히려 국내 소부장 산업은 일본에 의존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성장했다. 성과도 눈에 띈다.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 1년간 2만3000여건 기술이전

6일로 출범 1주년을 맞는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은 현재까지 5634개 기업에 장비활용, 기술자문, 인력파견 등 2만3359건의 기술을 지원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직·간접 매출 8181억원, 비용절감 277억원을 기록했다. 기술애로 해소 3100건, 기술이전 468건(기술료 208억원) 등의 성과도 창출했다.

[서울=뉴스핌]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전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이천 캠퍼스를 방문, 소재·부품·장비 관계자 간담회에서 소재·부품·장비 2.0 전략을 들은 뒤 박수를 치고 있다.[사진=청와대 ] 2020.07.09 photo@newspim.com

융합혁신지원단의 이같은 성과는 공공연구기관의 연대와 협력을 통해 소부장기업의 조기사업화를 지원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원단은 지난해 5월부터 소부장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싱글 윈도우(single-window)' 개념인 '기업지원데스크'를 설치·운영하고 전국 공공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를 원스톱(One-stop)으로 지원해왔다. 이를 통해 소부장 기업의 기술 애로 해결기간을 기존 평균 6개월에서 평균 2.4개월로 단축했다.

단일기관 지원으로는 해소하기 어려웠던 다분야에 걸친 애로기술에 대해 공공연구기관 간 공동지원을 통한 '융복합 지원'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테스트베드를 대폭 확충했을 뿐더러 신뢰성·양산평가 지원을 강화하면서 R&D(연구·개발) 이후 사업화에 곤란을 겪고 있는 소부장 기업의 기술 상용화를 적시에 지원, 매출을 올리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두기도 했다.

실제 전원 집적회로 생산기업인 에이피반도체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의 신뢰성 향상 컨설팅을 받은 뒤 시험성적서도 발급받아 현대자동차, 유니크전자 등에 60억원 규모의 납품을 성사시켰다. 전자기기 및 로봇용 정밀제어 모터 전문기업인 에스피지는 한국기계연구원에서 로봇용 감속기 관련 수요기업 연계 실증시험 및 고장원인 분석을 지원받아 제품수명을 250% 향상시키고 중국 매출도 1304억원까지 달성했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융합혁신지원단은 소부장 산업에서 연대와 협력을 대표하는 기업지원 플랫폼으로 지난해 4월 출범한 이후 1년여의 짧은 기간동안 유의미한 경제적 성과를 창출했다"며 "출범 2년차를 맞은 혁신지원단이 소부장 기업의 기술력 향상과 성과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부장 추경 'R&D 사업', 1년반 만에 6000억원 경제효과

'소부장 독립'의 일등공신으로 추경을 통한 다양한 R&D 사업이 꼽힌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19년 재·부품·장비 추경 연구개발(R&D) 사업을 개시한 뒤 최근까지 매출 2151억원, 투자 3826억원, 고용 385명, 특허출원 271건 등의 경제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부품 기술개발 분야를 보면, 정부는 조기 기술확보가 필요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핵심소재 등 25개 품목 41개 과제 기술개발에 2019년 650억원, 2020년 1165억원을 지원했다.

삼성전자 클린룸 반도체 생산현장 [사진=삼성전자]

제조장비 실증지원의 경우, 이미 개발됐지만 실증 부족으로 판매가 어려웠던 5개 업종 30개 장비에 대해 수요기업의 실증을 통한 트랙-레코드(track-record) 확보와 신뢰성 향상에 2019년 320억원을 투입한 게 주효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성능평가지원 분야에서는 수출규제 3대 품목이 속한 130개 품목에 대해 수요기업 생산라인에서의 평가와 성능검증·개선에 2019년 350억원을 지원했다.

산업부 한 관계자는 "통상 R&D에 3년, 매출발생까지는 R&D 완료 후 3년 이상이 걸리던 것을 18개월 미만으로 대폭 단축했다"며 "일본 소부장 수출규제에 대한 국내 기업의 위기 극복이 우선이다보니, R&D 성과 역시 단축시켜야 한다는 공감대가 산업계·연구계 등 전반에 형성됐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정부가 소부장 특별법을 만들오 2조원이 넘는 재원을 특별회계로 지원하면서 소부장 유턴 기업도 증가했다. 2017년 2개 였던 소부장 유턴기업은 2019년 14개, 지난해 18개로 급증했다.

성윤모 장관은 지난달 간담회를 통해 "국내 소부장 기업의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대한 노력과 함께 기업간 연대와 협력이 소부장 독립의 발판이 됐다"며 "일본이 수출을 규제할 때 '불가능한 벽'으로 알려졌던 품목에서 성과를 냈던 것이 경제효과를 높이는 데 힘을 보태줬다"고 강조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