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2042년까지 미래항공교통 시스템으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 항공편 정시성을 20% 향상하고 항공교통 안전성과 운영 효율성은 각각 50%, 10% 높인다. 반면 유류비는 11% 저감시켜 국내 항공교통 수용량을 2배 이상 확대한다는 목표다.
국토교통부와 국방부, 기상청 등 관계부처는 이러한 내용의 '국가항행계획 2.0'을 국무총리 주재 제130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논의·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국가항행계획의 기대 효과 [자료=국토교통부] |
국가항행계획은 과학적인 교통 관리를 통해 최적의 비행 경로를 보장하기 위한 맞춤형 항공교통종합계획이다. 특히 이번 계획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도심항공교통(UAM) 등 신기술과 새로운 항공교통 수단의 등장으로 변화하는 항공 환경에 대응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우선 공역을 탄력적으로 활용해 단축 비행로를 적극 활용한다. 기존에 공역을 상시 우회하는 곡선 항로를 이용해 비용거리가 늘어났지만 앞으로는 공역을 활용하지 않을 경우 직선으로 비행해 비행거리를 단축한다는 목표다. 관리, 통제 중심의 공역 운영을 항공자 등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민·군 공역운영 협력을 강화하고 공역사용계획 공유 등 국가공역 시스템을 고도화해 탄력적 공역 운영 기반을 마련한다. 인천공항 주변 공역에 대해서도 군과 협력해 공역 조정을 검토, 추진해 관제 수용량을 시간당 75대에서 80대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기존 국가공역체계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전면 재검토를 추진한다.
아울러, 항공사에 지연예상 정보를 사전 제공하는 등 시스템 예측 기반의 선제적 흐름 관리를 추진한다. 안전범위 내 항공기 간 분리기준을 단축하고, 관제사의 항공기 출・도착순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등도 구축한다.
항공정보・비행정보 및 실시간 교통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화도 추진한다. 각 기관・공항별로 수집・분석하던 데이터를 '국가 주관 센터'에서 종합해 실시간 수용량 예측에 활용해 항공교통 정시성을 향상시킨다. 비행 계획은 디지털 방식으로 통합, 관리하고 항공기상 정보를 디지털 기반 입체적 정보로 전환한다. 지상-공중 간 상호 공유가 가능한 항공정보 통합관리체계를를 개발한다.
항공기 출·도착 순서는 시스템으로 관리한다. 기존 항공교통 관제사의 경험과 능력에 의해 판단됐던 출·도착 순서를 보다 과학적으로 정밀하게 관리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관제장비와 항행시설을 디지털화・첨단화하고 위도, 경도, 고도, 시간 등 4차원(4D)개념의 궤적 기반 운영으로 전환해 효율성을 개선한다. 이 밖에 고속・대용량의 지상-공중 간 데이터기반 통신망 등을 구축하고, 한국형 위성항법보정 시스템을 통해 항행시스템・항공기 감시 성능을 향상시킨다. 조난 항공기에 대한 안전관리체계도 국제수준에 맞게 구축한다.
UAM에 대비한 첨단·무인 기반 교통관리체계도 마련한다. 이를 위해 가상・증강현실을 접목시켜 관제업무를 수행하는 등 항공교통관리의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저고도(150m 이하)를 비행하는 드론에 대한 국가 비행정보관리 시스템 설계를 착수하고, 중고도(300~600m) 비행 기체는 그랜드 챌린지 사업과 연구개발(R&D) 등을 통해 드론(저고도)・항공기(고고도)와 조화된 한국형 교통관리방안을 수립한다. 인공지능, 증강현실 등을 통합한 공항 원격 관제서비스를 시범 구축하고, 관제사의 집중력 제고를 위해 각 관제장비 등을 통합・플랫폼화한다.
항공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직선 비행로를 확대해 항공사 유류비 절감을 지원한다. 관제사 훈련을 고도화해 관제 서비스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항공기 연속 상승・강하, 공항소음 제한으로 인한 회항 감소 등 운영개선을 추진한다. 주요 관제탑에 교육 시뮬레이터를 설치, 개선하고 능력 기반 훈련 체계로 전환한다. 코로나19 방역, 비상대응체계도 강화한다.
국토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2042년까지 항공교통 안전성과 운영 효율성, 항공편 정시성을 각각 50%, 10%, 20% 향상시킨다는 목표다. 인천공항의 경우 2019년 기준 76%에 불과한 정시성이 2042년에는 92%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환경 영향과 유류비는 11% 저감시켜 우리나라의 전체 항공교통 수용량을 2배 이상 증대시킨다는 목표다. 국내선·국제선 평균 비행시간은 각각 63분, 97분에서 57분, 87분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국가항행계획 2.0이 차질 없이 추진되면 항공편 지연이 줄고 운항 시간이 단축돼 항공사와 공항 운영자 등의 경제 편익이 총 12조1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일자리는 약 9만여개 이상 창출되고 탄소(CO2) 배출량은 3500만t 이상 저감될 것으로 예측된다. 국토교통부는 계획 이행을 위해 관련부처와 업계, 학계,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한다. 2차관 주재 연 1~2회의 회의를 통해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계획을 수정, 보완한다. 또 법적 기반을 확보하고 재정투자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김용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국가항행계획을 통해 향후 급증할 항공 교통량과 새롭게 등장하는 항공교통 신기술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국민에게 안전하고 지연 없는 항공교통을 제공하고 신산업의 성장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