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이란 정부가 한국 전자제품에 대한 수입 금지령을 내린 가운데 국내 전자업계 영향은 미미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앞서 미국의 대 이란제재로 우리 기업들도 현지 사업을 줄여온 터라 추가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란 게 국내 기업들의 반응이다.
1일 현지 언론과 전자업계에 따르면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는 지난달 6일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란 제조업체들의 요청으로 한국 기업 두 곳의 가전제품을 수입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서한에서는 기업명이 명시되진 않았지만, LG전자와 삼성전자를 겨냥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사진=로이터 뉴스핌] |
다만 두 회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미국의 대 이란 제재로 이미 사업을 크게 줄여온 탓이다.
지난 1989년 이란지사를 설립한 LG전자는 현지 유통업체인 '골드이란'을 통해 제품을 판매해 왔다. 2015년 이란 수도 테헤란에 이란 최대 전자제품 매장을 열기도 했다.
골드이란은 2006년부터 LG전자의 기술 지원을 받아 현지 공장에서 일부 에어컨을 생산해 왔다.
삼성전자는 지난 1990년 테헤란 지점을 설립하고 이란 시장에 첫 진출했다. 삼성전자는 'HACO'라는 현지 유통업체를 통해 가전제품을 판매해 왔다.
하지만 지난 2018년부터 미국의 대 이란 제재가 강화로 한국에서 결제와 부품 수입 길이 막히면서 현지 유통업체와의 사업 규모가 줄어들었다.
지금은 A/S 등 최소한의 서비스만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대 이란 제재로 최근 몇 년간 판매 실적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며 "최고지도자의 추가적인 수입금지 조치가 이뤄지더라도 영향은 없는 상황이다"고 전했다.
앞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제품이 수입될 것이란 소문이 돌면서 현지 가전업체들의 불만이 커진 바 있다.
이란은 '삼'(SAM), '지플러스'(Gplus) 등 자국 기업을 육성 중인데 삼성과 LG 제품이 들어오면 경쟁력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일부 현지 매체는 70억 달러(약 8조3000억원) 규모인 한국 내 동결된 자금을 처리를 위해 한국산 가전 수입 방안을 검토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최고지도자가 자국 산업 보호를 명목으로 어깃장을 놨다는 해석이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