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月 1500만 고객 확보하라"...금융지주사, 인터넷銀 공세에 긴급조치

기사등록 : 2022-02-23 15:0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KB, 올해 MAU 900만→1500만명 목표 설정
우리, 550만→1000만명 2배 이상 끌어올릴 것
카카오뱅크 MAU 1등 은행…기존 금융권 위협

[서울=뉴스핌] 이정윤 기자= 금융지주들이 과거와 달리 자사 대표 애플리케이션(앱)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를 올해 경영 목표 중 하나로 정하고 나섰다. 비대면과 디지털 가속화로 영업 환경이 크게 변하자 빅테크, 인터넷전문은행과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은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KB스타뱅킹'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목표를 1500만명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지난달까지 MAU 900만명을 달성했는데, 올해 말까지 67% 가량을 올리겠단 것이다. KB금융이 컨퍼런스콜에서 공개적으로 MAU 현황과 목표에 대해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영서 KB금융 디지털플랫폼총괄(CDPO) 전무는 "한국의 전체적인 금융시장에서 앱 MAU는 7000만명이고, 최소한 1000만명은 넘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상품의 구조도 MAU 유도할 수 있게끔 했고, 작년에 금융권 최초로 은행와 지주의 겸직 조직인 디지털 조직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MAU는 인터넷·모바일 기반 서비스를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다. 실제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얼마나 되는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누적 가입자 수보다 중요하게 평가 받는다.

이원덕 우리금융지주 수석 부사장도 차기 우리은행장으로 내정된 이후 첫 출근길에서 중점 추진 과제로 '은행의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언급했다. 그는 현재 550만명 수준인 MAU를 1000만명 이상으로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보다 2배 가까이 MAU 끌어올리겠단 의지다. 우리금융은 우리은행과 우리카드 등을 종합한 MAU가 800만명 수준이다.

이 내정자는 "플랫폼 경쟁력은 MAU로 평가받는다고 본다"며 "우리은행이 혁신적으로 기술기업과 대등하게 경쟁하려면 플랫폼 자제의 경쟁력도 굉장히 중요하지만, 어떻게 서비스나 상품을 플랫폼에 실어 고객을 유인하느냐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이정윤 기자= 2022.02.23 jyoon@newspim.com

신한금융은 지난해 기준 은행, 카드, 증권 등 계열사 플랫폼을 모두 합한 그룹 전체의 MAU는 1881만명이고, 신한은행 '쏠(SOL)'은 858만명이다.

신한지주 관계자는 "원앱 전략에 대해 논의 중이라 현재 앱으로 올해 MAU 목표를 제시하는 건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신한금융은 최고 디지털 책임자에 한국IBM과 SK텔레콤을 거쳐 초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을 역임한 김명희 부사장 영입한 만큼 혁신적인 디지털전환 보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MAU를 외부에 공개한 적이 없고 가입자만 공개하고 있다. 현재 하나은행 '하나원큐' 앱의 가입자는 1280만명이다. 외부적으로 하나원큐의 MAU는 300만~400만명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처럼 전통 금융그룹들이 MAU를 언급하고 나선 데는 최근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와의 플랫폼 경쟁이 심화되고 카카오뱅크와 같은 인터넷은행들이 간편 금융으로 무장해 몸집을 키워나가며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카카오뱅크의 MAU는 지난해 말 1523만명으로 1년 새 212만명이 늘었다. 같은 기간 고객수가 1799만명인 것과 비교하면 한 달에 한 번 이상 앱에 접속하는 충성고객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이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지난 15일 기자간담회에서 "자산 규모보다 얼마나 더 자주 카카오뱅크 앱을 사용하는지가 카카오뱅크의 경영 첫 번째 목표"라면서 "넘버원(1등) 리테일 은행은 여신 규모 1등이 아닌 고객이 가장 많이 자주 사용하는 은행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MAU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진 않았지만, 지난해 성장한 만큼 올해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앞으로 기존 금융권의 앱 경쟁과 디지털 복합 점포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핀테크, 빅테크 등과 공정한 경쟁을 위해 금융권의 디지털 혁신을 막는 여러 규제들에 대한 해소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jyoo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