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오는 2024년 준공되는 국내 고체연료 발사체 발사장에서 하이브리드 기반 발사체의 발사도 병행 추진된다.
당초 고체연료 기반의 발사체가 우선 사용될 수 있는 발사장 건설이 예고됐으나 고체와 액체연료를 함께 활용하는 하이브리드의 발사체도 발사장을 사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국내 인프라가 부족해 해외 발사장만 찾았던 국내 하이브리드 발사체 업체로서는 국내 발사를 상당기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나로우주센터 내 2024년 준공되는 고체발사장 병행 활용
30일 <뉴스핌>의 취재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핵심 관계자는 "고체연료 발사체 발사장에서도 하이브리드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는지 기술적인 부분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과기부 한 고위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엔진을 기반으로 한 발사체를 개발하는 업체의 경우, 발사체를 이송한 뒤 발사하는 데 어려운 과정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하이브리드는 별도로 검토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흥=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21일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 거치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가 힘차게 날아오르고 있다. 누리호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 600~800km)에 투입하기 위해 만들어진 3단 발사체이며 엔진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 발사 운용까지 모두 국내 기술로 완성한 최초의 국산 발사체이다. 2021.10.21 photo@newspim.com |
앞서 지난해 6월 9일 과기부는 제19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정안' 등을 심의·확정했다. 한·미 미사일지침 종료로 발사체 관련 규제가 해소된 만큼 고체연료 발사체 개발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해진 상황이다.
과기부는 오는 2024년까지 고체연료 기반의 소형발사체 개발·발사를 추진하고 나로우주센터 인근에 관련 발사장 등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고체연료 발사체는 우리나라가 그동안 축적한 고체추진제 기술을 활용해 민간 우주산업체 주도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고체연료 발사체는 액체연료 발사체와 비교해 구조와 발사장 설비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단순 점화로 발사할 수 있어 민간 산업체의 저비용·단기 발사체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초소형위성 시장 확대에 따라 증가하는 저궤도 소형 위성 반복 발사 수요 대응에도 고체연료 발사체가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과기부는 이후 다양한 민간 기업들이 발사체 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민간 발사 기반시설 등을 추가로 구축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같은 계획에 최근 과기부가 고체 발사장에 대한 하이브리드 발사체 발사도 동시에 검토하면서 관련 업계의 기대도 높아지는 분위기다. 당초 고체연료 발사체 기반으로 우선 발사장을 마련키로 했으나 하이브리드는 100% 액체 연료 기반 발사체보다 발사가 수월해 반영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어서다.
실제 하이브리드 기반의 발사체를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인 이노스페이스가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체나 액체 기반의 엔진을 사용하는 발사체는 발사 시 위험성이 높은 반면 고체와 액체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발사체는 상대적으로 안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다. 뿐만 아니라 이노스페이스는 이동식 발사대를 확보한 상태이며 일부 산화제 충전역시 관련 설비를 갖춰 실제 발사시 발사장으로 이동시키면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노스페이스는 지난 27일 오전 11시께 청주사업장에서 국내 우주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시험발사체(한빛-TLV) 기립 시연에 나선 바 있다. 이노스페이스는 오는 12월께 브라질 알칸타라 발사센터에서 브라질 항공과학기술부 등이 개발한 관성항법장치를 탑재해 발사체를 지구 준궤도까지 띄워 올린 예정이다.
◆ 정부 추진 위성 수주 및 동남아 위성 사업 추진 탄력
2024년까지 준공되는 고체 연료 발사체 발사장은 국내 발사체 시장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첫 신호탄으로도 평가된다.
한 항공우주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는 장소는 현재로서는 나로우주센터밖에 없다"며 "일단 고체연료 기반의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다양한 소형 발사체 개발에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고체 발사체 발사장을 하이브리드 발사체 개발 업체가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되면 그만큼 사업 모델 확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발사체 스타트업인 이노스페이스가 지난 27일 오전 11시께 자체 개발한 하이브리드 시험발사체에 대한 기립을 시연했다. [자료=이노스페이스] 2022.05.30 biggerthanseoul@newspim.com |
수혜기업이 될 이노스페이스의 경우, 오는 12월 시험발사체 발사를 성공시키게 되면 북미 또는 남미 등 추가 위성사업 수요를 소화해낼 것으로 보인다.
기술이 검증되면 오는 2024년부터는 정부가 추진하는 소형·초소형 위성 발사 사업 수준에도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지난해 11월 열린 국가우주위원회에서는 향후 10년간 170개의 인공위성을 개발하고 우주발사체도 40여회 발사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여기에 동남아 위성 사업 수요 확보에도 수월해질 것이라는 게 해당 업체의 설명이기도 하다.
김수종 대표는 "민간 기업은 상업 발사 시점이 중요하고 국내에서도 빨리 발사체를 발사하고 싶은 심정"이라며 "발사 후 발사체 낙하 지점 등에 대한 문제를 제외한다면 고체 발사체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바닥으로 된 발사 패드만 갖춰지면 발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