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사회

반도체 인력 늘린다더니…수도권대학 '쏠림' 어쩌나

기사등록 : 2022-06-23 13:4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지방권 대학 중도탈락률, 서울권 대학 3배↑
"지속적인 지원 사업 필요"

[서울=뉴스핌] 소가윤 기자 =정부가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반도체 관련 학과 증원을 검토하고 있지만, 수도권대학 쏠림 현상으로 오히려 지방대 소멸 위기는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도체 관련 학과가 개설돼있는 전국 16개 대학 중 지방 소재 대학이 서울 소재 대학보다 중도탈락률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대학정보공시 결과 2020년 전국 16개 대학의 반도체학과 중도탈락자 176명 중 126명(71.6%)이 지방대학생으로 나타났다.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022.06.15 wideopen@newspim.com

중도탈락자는 반수나 편입학으로 자퇴했거나 제적된 학생이다. 중도탈락률은 지방 소재 대학이 7.63%로 서울 소재 대학 2.41%보다 3배 이상 높았다. 수도권 대학의 중도탈락률은 5.54%로 조사됐다.

충원율의 경우 서울 소재 대학은 99.1%, 수도권 대학은 98%로 집계됐지만 지방 소재 대학은 78.2%로 조사돼 서울·수도권 대학보다 약 20%p 낮았다.

이에 대해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지방대학들은 브랜드 파워를 비롯해 교내 프로그램, 교수진 등의 부분에서 상위권 대학보다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의 중도탈락 이유도 다를 것이라고 추정했다.

임 대표는 "서울·수도권 대학은 상위 대학이나 의학·약학 계열로 진학하기 위해 자퇴하는 학생이 많지만, 지방대학은 서울·수도권 대학 진학을 목표로 그만두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에서 취업을 보장하는 계약학과를 개설해 운영 중이지만 이마저도 수도권에 집중돼있어 지방대 소멸 위기는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는 총 17개인데 이중 15개가 수도권에 편중돼 있다.

임 대표는 "서울·수도권 소재 반도체학과는 경쟁률이 높은 편이지만 지방대학에 반도체 학과를 만들어도 학생들의 지원율이 낮을 수 있다"며 "몇 년전 교육부가 추진한 프라임 사업 지원을 받아 신설된 학과도 미달인 경우가 많았다"고 지적했다.

프라임 사업은 사회와 산업 수요에 맞게 학과 정원을 조정하는 대학에 국비 지원금을 주는 재정지원사업으로 2016년부터 추진됐다.

서울·수도권 대학과 지방권 대학의 양극화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산업 흐름을 고려한 지속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임 대표는 "반도체 관련 학과 증원 대학을 선정하는 데 급급하기보다 취업 연계프로그램 등 장기적인 지원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며 "산업 흐름도 정확하게 예측해야 하는데 반도체 산업이 향후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며 지속성을 강조했다.

한편 교육부는 반도체 분야별, 기술수준급별로 인력 부족 현황을 파악해 다음 달 안에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양성 지원방안'을 마련한다고 밝힌 바 있다.

sona1@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