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동서해를 연결하는 대운하 건설 방침을 밝혀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 국회에 해당하는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통해 공개적으로 언급한데다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며 성사에 대한 강한 의욕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다.
김정은의 대운하 발언은 지난 8일 최고인민회의에서 '핵 무력 정책' 법령화에 대한 설명을 한 직후 나왔다. 북한 핵의 운용이나 통제를 전적으로 자신의 권한 아래 두는 결정을 하며 최고지도자로서의 위상을 한껏 과시하는 자리에서 동서해 연결 대운하 건설이란 초대형 프로젝트의 청사진을 꺼내든 것이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8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 14기 7차 회의에서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그는 대운하건설 방침을 밝혔다. [사진=조선중앙통신] 2022.09.09 yjlee@newspim.com |
대운하 건설은 무엇보다 선대 수령이자 김정은 리더십의 롤 모델이라 할 김일성 국가주석(1994년 사망)의 못다 이룬 꿈을 완성하는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6.25전쟁을 치르면서 북한 해군력이 동서해로 갈라져 매우 취약하다는 점을 절감한 김일성은 휴전 직후인 1953년 김일성대학에 동서연결 대운하 건설 방안을 검토해보라고 지시했다.
20여년의 검토 끝에 서해의 남포 지역 대동강과 동해의 함흥 용흥강(금야강)을 연결하는 라인이 유력하게 떠올랐고, 12개의 계획된 갑문 중 서해 쪽 남포・미림・봉화・성천・순천 등 5개의 갑문 건설이 완성됐다.
하지만 동해안 쪽에 높게 솟은 낭림산맥을 관통하는 게 문제였다. 결국 동서해 연결 운하는 불가능한 일이 돼버렸다.
이러한 북한 내부의 추진 과정을 방북 시 서해갑문 방문 과정에서 파악한 안병민 한반도경제협력원장은 11일 "김정은이 자기 시대를 상징하는 건설 사업을 통해 김일성의 후계자임을 과시하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서해갑문을 방문한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진=화보조선] 2022.09.12 yjlee@newspim.com |
둘째는 동서해를 오가기 위해서는 멀리 제주해협 남단으로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과 경제적 손실을 만회하려는 조치로 볼 수 있다.
서해의 대표적 항구인 남포・해주・신의주와 동해 청진・원산・흥남・나진항 등을 오가기 위해서는 한반도 남측 공해상을 거쳐야 하는 어려움은 물론 보안상으로도 취약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북한은 과거 남북 해운협력을 내세워 제주해협 통과를 우리 측에 요청해 오기도 했다.
동해 지역에 밀집한 지하자원이나 철강 등을 서해로 보내고, 서해 쪽 곡창지대의 식량 등을 반대편으로 보내는 데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1968년 북한에 나포돼 원산항에 있던 미 정보함 푸에블로호(AGER-2)를 30년 만에 서해 쪽으로 몰래 옮겨 평양 보통강변 전시할 때도 북한은 미 첩보위성이나 해상검색을 우려해 가슴을 졸였다고 한다. 그만큼 북한은 동서해 연결 운하의 필요성을 느껴왔다는 것이다.
셋째는 북한의 열악한 교통 인프라 실정을 고려한 결정이란 분석이다. 철도의 경우 극도로 노후화 한데다 전기 공급마저 여의치 않아 시속 30~40km 이상 달리기 어려운데다, 잦은 정차로 북한 내 수송에 며칠씩 걸리기 일쑤다. 차량을 이용한 화물수송의 경우는 북한에서 제대로 된 서비스를 기대하기 힘들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 공식환영식에서 군사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 2018.4.27 |
김정은 위원장도 2018년 4월 문재인 당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오시면 솔직히 걱정스러운 게 우리 교통이 불비(不備·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음)해서 불편을 드릴 것 같다"고 언급한 바 있다. 또 남한을 방문했던 여동생 김여정의 보고를 받은 듯 "평창올림픽 갔다 온 분이 말하는데 평창 고속열차가 다 좋다고 하더라, 남측의 이런 환경에 있다가 북에 오면 참 민망스러울 수 있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내륙 대운하를 이용할 수 있다면 동서해 지역의 물류 운송이 원활해지고, 철도・도로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철도・도로 건설에 들어갈 막대한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점도 북한으로선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다.
남한의 대운하 건설 계획을 맹비난 하던 북한이 갑작스레 대운하 건설 쪽으로 돌아선 배경도 흥미롭다.
지난 2006년 말 이명박 당시 대통령 후보가 제17대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제시한 한반도대운하 사업 구상은 한강과 낙동강을 운하로 만들어 연결하고 북한 대동강까지 운하 수운망을 연결하는 계획을 담았다.
이에 따른 북한 지역의 운하 건설은 ▲평원 운하 379km ▲경원 운하 257km ▲평개 운하 206km ▲사리원 운하 135km ▲청천 운하 58km 등 모두 5개 구간에 총연장 1035km에 이른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운송 문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북한 선전포스터. [사진=조선중앙통신] 2022.09.12 yjlee@newspim.com |
하지만 일부 학계와 여론 반대에 밀려 백지화 됐고 북한은 이명박 정부 내내 이를 대남 비방의 소재로 삼았다.
김정은이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공론화 한데다 '전망적인 경제사업'의 하나로 평가한 만큼 조만간 북한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준비나 공사 추진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적인 힘을 넣어 반드시 성공을 안아와야 한다"는 김정은의 언급도 대운하 건설에 탄력을 붙일 게 분명하다.
서해안 지역의 경우 남포・미림갑문뿐 아니라 전반적인 내륙수운 체제가 비교적 잘 갖춰져 있다는 게 북한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문제는 동고서저형의 한반도 지형이다. 대동강~용흥강을 잇는 대운하 건설의 경우 험준한 낭림산맥을 넘기가 만만치 않다. 할아버지 김일성이 좌절했던 동해 쪽 구간 건설은 공법이 많이 발달한 현재도 상당한 어려움을 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안병민 원장은 "일정 구간은 철도・도로로 처리하는 복합운송 체계도 북한이 고려할 수 있는 요소"라고 진단했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