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바이든 "바이오 생산도 미국이 주도해야" ...행정명령 서명

기사등록 : 2022-09-13 04:2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바이든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서명
14일 관련 정상회의도 주최
"그동안 지나치게 해외 의존...미국 생산 늘릴 것"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바이오 의약품 등 생명공학 분야에서도 미국내 생산을 강조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반도체와 전기차 배터리에 이어 바이오 산업에서도 중국을 겨냥해 자국내 공급망을 확충하며 글로벌 산업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의미다.

백악관은 이날 보도 자료를 통해 바이든 대통령이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는 미국에서 나온 (바이오 분야) 발명들을 미국에서 만들도록 하는 것이며, 미국 내 일자리 창출과 강력한 공급망 구축, 물가 완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악관은 다른 나라들은 이미 생명공학과 관련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노력중이지만 "미국은 그동안 외국으로부터 원재료와 바이오 생산을 지나치게 의존해왔고, 과거 생명 공학 등 주요 산업의 오프 쇼어링(해외로 생산 이전)은 우리가 화학 및  제약 물질 원료 등에 대한 접근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백악관 이와함께 미국 정부가 오는 14일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정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며 정부 부처들은 미국이 이 분야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진전시킬 수 있도록 광범위한 투자와 재원 확보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외신들은 이같은 조치가 미국의 바이오 산업을 육성시키고 미국내 생산을 확대해 자체 공급망을 확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의도라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동안 첨단 산업과 핵심 산업 부품을 미국 내에서 생산, 미국의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해왔다. 최근들어 관련 입법들도 속속 의회를 통과해 공포되고 있다. 

지난달 10일 바이든 대통령 서명한 반도체법은 중국의 반도체 확장을 겨냥해 입법이 추진됐으며, 미국내 반도체 생산업체에 529억 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지난달 16일에는 기후변화 대응과 의료보장 확충, 대기업 증세 등을 골자로 한 이른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공포됐다. 이 법은 미국에서 생산된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신차는 최대 7500달러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kckim100@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