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백진엽 기자 = 정부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기술과 인프라 지원에 힘을 쏟기로 하면서 해당 사업을 추진중인 업체들도 가속 페달을 밟을 전망이다. 다만 노선이나 가격 정책 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뉴스핌] 황준선 기자 = 8월1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한 '2022 무인이동체 산업엑스포'에서 관계자가 UAM(도심항공교통)을 시연하고 있다. 2022.08.17 hwang@newspim.com |
1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UAM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 연구개발(R&D)이 추진된다. 실증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에게는 사업권 우선 부여도 검토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2025년 UAM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내년부터 전남 고흥에서 기체와 통신체계 안정성 등을 검증한다. 2024년에는 도심지와 공항간 운행 등 실제 서비스 여건과 유사한 환경에서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
이밖에 법 제정, 안전성 인증체계 마련, 사업자 요건 및 보험제도 구축, 이착륙장(버티포트)와 통신망 등 인프라 구축 투자 확대 등 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세우고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정부가 선제적으로 UAM 서비스를 위해 나선 것에 대해 환영하는 모습이다. 아직 세계 어느 곳에서도 상용화가 되지 않아 불투명성이 큰 상황인데, 정부가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이같은 불투명성이 어느 정도 해소된다는 것이다.
UAM 사업을 준비중인 한 업체 담당 팀장은 "미래 모빌리티로 가능성은 크지만 워낙 투자가 많이 들어가야 하는 사업이면서 아직 세상에 없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사내에서도 '사업적으로' 확신할 수 있냐는 의문이 많다"며 "이번에 국토부가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것은 이같은 의구심을 어느 정도 잠재울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다른 기업 담당자 역시 "기업 입장에서는 무엇보다 '수지타산'을 우선시 하는 것이 당연하다"며 "정부가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신규 사업에 비해 가능성이 크다고 여겨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발표에서 사업자들에게 가장 민감할 수 있는 노선이나 가격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서비스 특성상 노선은 제한적이고, 가격은 다른 도심 교통수단에 비해 비쌀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UAM 활성화를 가로막는 걸림돌로 꼽힌다. 정부가 이런 걸림돌을 어떻게 줄여줄 수 있을 지가 서비스 활성화의 관건인데 그 부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 최초 서비스는 시내버스와 유사한 특정 노선 운행 방식으로 도입하고 이후 구역운행 방식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도심지 실증 노선은 국방부 등과 공역 협의를 거쳐 2023년초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다만 가격이나 관련 지원에 대해서는 별다른 내용을 담지 않았다.
한 기업 담당 임원은 "UAM 서비스 활성화의 가장 큰 관건은 가격일 것"이라며 "너무 비싸면 수요가 없을테고, 그렇다고 싸게 할 경우 사업자들이 그 손실을 감당하기 어려워 서비스 활성화가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결국 다양한 연구와 수요조사를 통해 적정 가격이 얼마인지, 그리고 사업자들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고민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서비스 손익분기점을 넘을 때까지 버틸 수 있는 사업자 선정, 지원책, 탑승객 유인책 등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현재 UAM 서비스를 준비중인 곳은 우선 통신3사가 각각 컨소시엄을 구성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UAM의 경우 교통관리 시스템과 네트워크가 핵심 기술인만큼 통신업체들이 차세대 서비스로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SK텔레콤은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등과 함께 'K-UAM 드림팀'을 구성, 제주도에서 2025년 국내 첫 UAM 상용 서비스 제공한다는 목표다. 최근 제주도와 업무협약(MOU)도 맺었다.
KT는 현대자동차, 인천공항공사, 대한항공 등과 손을 잡았다. 특히 현대자동차와 최근 상호 지분 교환을 통한 미래 모빌리티 혈맹을 구축해 눈길을 모았다.
LG유플러스는 카카오, GS 등과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7월 LG사이언스파크, 카카오모빌리티, GS건설, GS칼텍스, 제주항공, 부산광역시 등과 UAM 상용화를 위한 MOU을 맺었다. 부산광역시는 2026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롯데지주와 롯데렌탈은 미국 스카이웍스 에어로노틱스(비행체 개발), 미국 모비우스에너지(배터리 모듈 개발), 한국 민트에어(비행체 운영) 등과 손잡고 UAM 상용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2년 뒤 인천공항~서울 잠실의 UAM 운행이 목표다.
jinebito@newspim.com